3te falvelta’d lineparine’d krancia

리팔라인어 3판 문법서

서문


수정내역

2019/07/28         내부공개

2019/07/29         21부분 가필수정

2019/08/03         2부분 가필수정

'감탄사' 추가

2019/08/04         3부분 가필수정

'안트베르' 추가

2019/08/08         6부분 가필수정

2019/08/12         '특수 표기' 추가

2019/08/13         '이 나이' 추가

2019/08/14         '언어명에 대해' 추가

2019/10/24         '"생각하다"라는 단어에 대해' 추가

'존재동사와 계사' 추가

(이 기간동안 시학 장의 기술이 꽤 진행됨)

2019/11/25         '양순마찰음 동화 이외의 연음' 추가

'조동사의 수식제어류와 전치사의 축약어' 추가

2019/11/26         '분수기호 읽고 쓰기' 추가

2019/11/29         '어림수'에 Ancorten 추가

2019/12/07        '지시대명사의 형용사형' 추가

2019/12/10         '어림수'에 ro 추가

2019/12/15         '조동사' 가필수정

2019/12/16         '격 생략에 의한 분류'에 변격동사 분류 도입

'분리표식'에 변격동사와 관련된 용법 추가

2019/12/20        '동사연체형 명사 (파생)'에 접사 예약 추가

2019/12/27        '글씨체' 추가

2019/12/29        '문자의 명칭과 음가'에 <h>, <b>의 설명이 없어 이를 추가

2020/03/11        '동사파생명사'의 설명을 알기 쉽게 수정, '-erl에 관하여' 추가

2020/03/12        '동사연체형 파생어미' 항목 수정

2020/04/05        '전사 시의 분리기호 ъ' 추가

2020/04/14        '부록 1: 완충음 조견표', '급 전치사의 축약어' 추가

2020/04/21        '어림수' 추가, '비교에 대하여' 추가

2020/06/01        '언어의 개요' 추가

2020/07/18        '전치사의 기본', 7.2., 7.3. 이하의 문단번호 수정

2020/07/26        '개별형식' 추가

2020/08/21        '수사법' 추가

2020/08/28        'NAAN의 수식방향을 명시하는 y' 추가

2020/09/5        '조동사의 수식제어류와 접속사의 축약어'에 i와의 축약을 추가, '조동사의 수식제어류와 전치사의 축약어'에 elxif와의 축약을 추가, '조동사의 수식제어류와 분리표식의 축약어' 추가

2021/01/01          한국어 번역 시작


수정 예정


역자 노트


목차

서문        2

수정내역        3

수정 예정        4

목차        5

0. 언어의 개요        15

0.1. 지리・계통        15

0.2. 화자수・민족구성・산업        15

0.3. 교육・미디어・활성화율        15

1. 문자와 발음        16

1.1. 문자        16

1.1.1. 문자 일람        16

1.1.1.1. 문자 개요        16

1.1.1.2. 글씨체        17

1.1.2. 문자의 명칭과 음가        18

1.1.2.1. 모음        18

1.1.2.2. 자음        19

1.1.2.2.1. rer의 취급        20

1.1.2.2.2. f, fh, v, v의의 구별에 대한 회의론        20

1.1.2.2.3. y의 발음 선택 (textircapoler)        20

1.1.2.2.4. 전사 시의 분리기호ъ        20

1.1.2.3. 기호        21

1.2. 발음        22

1.2.1. 정의        22

1.2.2. 구・문어 공통 발음규칙        22

1.2.3. 구어의 예외발음        22

1.2.4. 음렬의 금지사항        23

1.2.5. 연성        23

1.2.5.1. 내연음        23

1.2.5.1.1. 단어 계열        23

1.2.5.1.2. 완충음        23

1.2.5.1.3. 안트베르(antverr)        24

1.2.5.2. 외연음        24

1.2.5.2.1. 연자음 및 촉음 특수표기 규칙의 외연음        25

1.2.5.2.2. 연모음 외연음        25

1.2.5.2.3. 통상촉음 외연음        25

1.2.5.2.4. 양순마찰음 동화 외연음        25

1.2.6. 강세        25

1.2.6.1. 구어의 강세        26

2. 형태론・통사론        26

2.1. 단어의 구성        27

2.2. 품사분류        27

2.3. 품사어미        28

2.4. 구의 정의        28

2.5. 어순        29

2.5.1. 지배적 어순        29

2.5.2. 어순의 변경        29

2.6. 기본적인 문장        29

2.6.1. 평서문        30

2.6.2. 부정문        30

2.6.3. 의문문        30

2.6.4. 명령문        30

2.6.4.1. 명령조동사 shrlo        31

2.6.4.2. 문두 명령화        31

2.6.5. 감탄문        31

3. 명사        31

3.1. 명사의 수        32

3.2. 명사의 특정성        32

3.3. 명사의 격        32

3.3.1. 주격        33

3.3.2. 대격        33

3.3.3. 여격        33

3.3.4. 속격        33

3.3.5. 향격        34

3.3.6. 호격        35

3.3.7. 결격        35

3.3.8. 공동격        36

3.3.9. 화제격        36

3.4. 명사에 붙는 접사의 순서        37

3.5. 대명사        38

3.5.1. 인칭대명사        38

3.5.1.1. 1인칭        38

3.5.1.2. 2인칭        38

3.5.1.2.1. 직접 2인칭 대명사 co        39

3.5.1.2.2. 간접 2인칭 대명사 zi        39

3.5.1.3. 3인칭        39

3.5.1.3.1. 3인칭 대명사 여성형 ci        39

3.5.1.3.2. 3인칭 대명사 남성형 si        40

3.5.1.3.3. 3인칭 대명사 중성형 ni        40

3.5.1.3.4. 3인칭 대명사 친칭 근칭 fqa        40

3.5.1.3.5. 3인칭 대명사 친칭 원칭 fgir        41

3.5.1.4. 4인칭 대명사        41

3.5.2. 재귀대명사        41

3.5.3. 지시대명사        41

3.5.3.1. 근칭 직접지시        42

3.5.3.2. 원칭 직접지시        42

3.5.3.3. 전술 문맥지시        42

3.5.3.4. 후속 문맥지시        43

3.5.3.5. 문맥지시 대명사와 직접지시 대명사의 사용법 구분        43

3.5.4. 의문대명사        44

3.5.4.1. 대인 의문대명사 harmae        44

3.4.4.2. 위치 의문대명사 harmue        44

3.5.4.3. 시간 의문대명사 harmoe        45

3.5.4.4. 사건 의문대명사 harmie        45

3.5.4.5. 이유 의문대명사 harmy, fontahame        46

3.5.4.6. 양상 의문대명사 hame        46

3.5.5. 총괄대명사        46

3.5.6. 부정대명사        47

3.6. 수사        47

3.6.1. 기수        48

3.6.2. 개수 표현        48

3.6.3. 단위 접사        48

3.6.4. 서수        50

3.6.5. 배수사        50

3.6.6. 분수        50

3.6.6.1. 분수기호 읽고 쓰기        51

3.6.7. 제곱수        51

3.6.8. 소수        51

3.6.9. 어림수        52

3.7. 옛 수사와 지시사        52

4. 형용사        54

4.1. 형용사의 개요        54

4.2. 형용사의 수식반전        54

4.3. 형용사와 속격명사        54

4.4. 급의 표현        55

4.4.1. 비교급        55

4.4.2. 최상급        55

4.4.3. 동등비교        56

4.4.4. 이상・이하・미만        56

4.4.5. 급 전치사에 대한 -j        56

4.4.6. 급 전치사의 축약어        57

4.5. 역수식적인 형용사        57

5. 동사        58

5.1. 동사분류        58

5.1.1. 격지배에 의한 분류        59

5.1.2. 격생략에 의한 분류        59

5.1.2.1. 일반동사        59

5.1.2.2. Mol형 동사        60

5.1.2.3. Es형 동사        60

5.2. 관계사        60

5.2.1. lex V        61

5.2.2. lexif V        61

5.2.3. zu V        61

5.2.4. V-en        62

5.2.5. 종속절 명시 -t        62

5.3. 가명사 e        62

5.3.1. 명령화 방지 e        63

5.3.2. 동사의 격지배 표시 e        63

5.4. 동사연체형 명사        63

5.4.1. 동사연체형 명사 (일반)        64

5.4.2. 동사연체형 명사 (파생)        65

5.4.3. 명사를 취하는 동사연체형 명사        66

5.5. 태        66

5.5.1. 수동태        67

5.5.1.1. 구어체의 수동태        67

5.5.1.2. 문어체의 수동태        67

5.5.2. 사동태        67

5.5.2.1. 구어체의 사동태        68

5.5.2.2. 문어체의 사동태        68

6. 동사수식사        68

6.1. 부사        68

6.1.1. 부사의 개요        69

6.1.2. 부사의 급        69

6.1.3. 복대부사        69

6.2. 조동사        70

6.2.1. 조동사의 개요        71

6.2.2. 시제조동사        71

6.2.3. 상조동사        72

6.2.3.1. 시작상 liaxi        72

6.2.3.2. 진행상 liaxu        72

6.2.3.3. 완료상 liaxa        72

6.2.3.4. 완료지속상 liaxe        73

6.2.3.5. 결과상 liaxo        73

6.2.3.6. 결과지속상 liacy        74

6.2.3.7. 반복상 liaoll        74

6.2.4. 시제와 상의 축약어        74

6.2.5. 서법 조동사        75

6.2.5.1. 명령 조동사 shrlo        75

6.2.5.2. 권장・의무 조동사 mole        75

6.2.5.3. 의사 조동사 jol        75

6.2.5.4. 의무・권장 조동사 deliu        76

6.2.5.5. 가능 조동사 cene        76

6.2.5.6. 희망 조동사 selene        76

6.2.5.7. 의사 조동사 lecu        76

6.2.5.8. 금지 조동사 fe        77

6.2.5.9. 불필요 조동사 fenxis        77

6.2.5.10. 소극적 희망 조동사 fi        77

6.2.6. 조동사의 수식제어류        78

6.2.6.1. eo lex        78

6.2.6.2. elxif        78

6.2.6.3. elxify        79

6.2.6.4. 조동사의 수식제어류와 접속사의 축약어        79

6.2.6.5. 조동사의 수식제어류와 전치사의 축약어        80

6.2.6.5. 조동사의 수식제어류와 분리표식의 축약어        81

7. 전치사・후치사        81

7.1. 전치사・후치사의 개요        82

7.1.1. 전치사・후치사의 기본        82

7.2. 주요 전치사        82

7.2.1. fal        83

7.2.2. filx        83

7.2.3. fon        83

7.2.4. fua        83

7.2.5. melet, mele, mel        84

7.2.6. mels        84

7.2.7. ny        84

7.2.8. xale        85

7.2.9. eska, eski        85

7.2.10. el        86

7.2.11. fasta, pesta        87

7.3. 주요 후치사        87

7.3.1. leus        88

7.3.2. at        88

7.3.3. cecio        88

7.3.4. io        88

7.3.5. ler        89

7.3.6. cix        89

7.3.7. lap        89

7.3.8. lar        90

7.3.9. las        90

7.3.10. it        90

7.3.11. lovik        91

8. 접속사        91

8.1. 접속사의 개요        91

8.1.1. 접속사의 기본        92

8.1.2. 주요 구 접속사        92

8.1.2.1. ad, adit, malt        92

8.1.2.2. ol. maol, o, olt        93

8.1.2.3. danif, danifaj        93

8.1.3. 주요 문 접속사        93

8.1.3.1. mal        94

8.1.3.2. mag, cun        94

8.1.3.3. pa        94

8.1.3.4. fi, fie        94

8.1.3.5. menial        95

8.1.3.6. lirs        95

8.1.4. 특별한 기능이 있는 접속사        95

8.1.4.1. i        96

8.1.4.2. 분리표식        96

8.1.5. 접속사의 축약        96

9. 서법 품사・감탄사        97

9.1. 서법 품사의 개요        98

9.1.1. 서법 품사의 기본        98

9.1.2. 서법 동사        98

9.1.2.1 주요 서법 동사        98

9.1.2.1.1 ja, yn’y, y’n’y        98

9.1.2.1.2 lu        98

9.1.2.1.3 plax        99

9.1.2.1.4 dea, da        99

9.1.2.1.5 ly        99

9.1.2.1.6 lys        100

9.1.2.1.7 cis        100

9.1.2.1.8 yrt, atif        100

9.1.2.1.9 nillast, villast, qillast        101

9.1.2.1.10 alte        101

9.1.2.1.11 blixe        101

9.1.2.1.12. alterblixe, firalterblixe        102

9.1.2.1.13. alteme        102

9.1.2.2. 성별과 관련된 서법 동사        103

9.1.2.2.1. do        103

9.1.2.2.2. fo, fyn        103

9.1.2.2.3. my        104

9.1.2.2.4. ti        104

9.1.2.2.5. fa        104

9.1.2.2.6. mirs        104

9.1.2.2.7. ex        105

9.1.2.3. 의문 서법 동사        105

9.2. 감탄사의 개요        106

9.2.1. 감탄사의 기본        106

9.2.2. 감탄사        106

9.2.2.1 주요 감탄사        106

9.2.2.1.1. 인사        106

9.2.2.1.2. 호응        106

9.2.2.1.3. 반응        107

9.2.2.1.4. 매도        107

10. 문체        108

10.1. 문체의 개요        109

10.1.1. 문체의 기본        109

10.1.1.1. 제1계층 문체        109

10.1.1.1.1. 구어        110

10.1.1.1.2. 문어        110

10.1.1.1.3. 신문어        110

10.1.1.2. 제2계층 문체        110

10.1.1.2.1. 경어체        111

10.1.1.2.2. 시어체        111

10.1.1.2.3. 인자리독체        112

11. 조어        113

11.1. 조어의 개요        113

11.1.1. 조어의 기본        113

11.1.1.1. 어근 가역적 조어        113

11.1.1.1.1. 동사연체형 파생어미        113

11.1.1.1.2. 동사계 동사파생어미        114

11.1.1.1.3. 동사계 동사파생 보조어미        114

11.1.1.1.4. 기타 접미사        114

11.1.1.1.5. 동사계 전치사        115

11.1.1.1.6. 명사계 전치사        116

11.1.1.2. 어근 불가역적 조어        117

11.1.1.2.1. 동사연체형 파생어미에 의해 파생된 명사의 어근화        117

11.1.1.2.2. 고전 리팔라인어의 어미가 a인 명사의 형용사형        117

11.1.1.2.3. 계승어・외래어의 변화규칙 등        117

11.1.1.2.4. 일부 단어의 어원 해석        117

11.1.1.2.5. 조어방침에 대해        117

12. 명명규칙        117

12.1. 명명규칙의 개요        118

12.1.1. 명명규칙의 기본        118

12.1.1.1. 부부・자식의 성        118

12.2. 이름의 구조와 종류        118

12.2.1. 기본형식        118

12.2.1.1. 2형식        118

12.2.1.2. 3형식        119

12.2.2. 보조적 이름요소        119

12.2.2.1. 4형식        119

12.2.2.2. 칭호류 (forme)        119

12.2.3. 파생형식        119

12.2.3.1. 생략명칭        120

12.2.3.2. 제사용 이름        120

12.2.3.3. 완전명칭        120

12.2.4. 개별형식        120

12.2.4.1. 별명        121

12.3. 이름에 관한 표현        121

12.3.1. 이름을 묻는 표현        121

12.3.2. 이름을 소개하는 표현        122

12.3.3. 이름을 부를 때의 주의사항        122

12.4. 여러 성씨와 이름        122

12.4.1. 여러 성씨        122

12.4.1.1. 리팔라오네 고유의 전통성씨        122

12.4.1.2. 외래 성씨        123

12.4.2. 여러 이름        125

12.4.2.1. 리팔라오네 고유의 전통이름        125

12.4.2.1.1. 성명(聖名)        125

12.4.2.1.2. 리팔라오네교 관련 이름        125

12.4.2.2. 생산적 어미에 의한 이름 생성        127

12.4.2.3. 외래 이름        127

12.4.2.3.1. 리팔라오네어족 유래 이름        127

12.4.2.3.2. 라네메어족 유래 이름        128

12.4.2.3.3. 리나에스트어족 유래 이름        128

12.4.2.3.4. 위고크어 유래 이름        128

12.4.2.3.5. 듀인 원주민 유래 이름        128

13. 사회언어학적 면모        129

13.1. 방언        129

13.1.1. 지역방언        129

13.1.1.1. 듀인 방언        129

13.1.1.2. 팔트크노아 방언        129

13.1.1.3. 아이렌 방언        129

13.1.1.4. 파이그 방언        129

13.1.1.5. 유게 방언        129

13.1.2. 사회방언        130

13.1.2.1. 유복어        130

13.1.2.3. 성직어        130

13.1.2.4. 수가어        130

13.2. 사회언어학사        130

14. 시학        130

14.1. 시의 여러 정의        130

14.1.1. 시 형식의 큰 두 분류        131

14.2. 운율시        131

14.2.1. 운율        131

14.2.1.1. 음절의 정의        131

14.2.1.2. 음절의 분류        131

14.2.1.3. 각운의 분류        133

14.2.1.3.1. 음절 길이의 대용 (레졸루션)        133

14.2.1.4. 각수와 구절        134

14.2.2. 압운        135

14.2.2.1. 어미운        135

14.2.2.2. 두운        135

14.2.2.3. 순환운        135

15. 수사법        137

15.1. 괄호 내의 elx 축약접속사        137

15.2. 비교의 3계층        137

15.3. 고어적 종속절 주어에 의한 수사법        138

15.4. NAAN의 수식 방향을 명시하는 y        138

X. 특수 표기        138

X.1. 속격의 유무        139

X.2. '이런 나이'        139

X.3. 언어명에 대해        139

X.4. 시간과 장소의 배치        140

X.5. '생각하다'라는 단어에 대해        140

X.6. 존재동사와 계사        140

X.7. 부사 lex V        140

X.9. -erl에 대하여        141

부록        141

부록 1: 완충음 조견표        141


0. 언어의 개요

0.1. 지리・계통

 본 문법서에서 다루는 리팔라인어의 정식 명칭은 '현대표준 리팔라인어'라 하며, "종합창작모임 유리"와 창작세계관 "대우주"에 포함되는 언어이다. 시안대어족 리팔라오네 어족 유나・리팔라오네 어파에 속한다.

 "유리"에서는 이세계 파이클레오네의 유에슬레오네 연방을 중심으로 넓은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유에슬레오네 연방과 PMCF (동제도공화국연방)에서는 공용어의 지위로, 하타 왕국 등에서는 제1 외국어로써 교육되고 있다.

 "대우주"에서는 팔토크노아 공화국을 시작으로, 아폴라 성계국제연맹 (P.J.C.Q.D.), 로피르나 연방공동체 (라촐펜 공국), 찬타 민주전선공화국 등에서 공적인 지위를 가진다.

0.2. 화자수・민족구성・산업

 정확한 민족의 비율이나 언어사회학적 환경, 또는 시대에 따른 변화를 고려한다면 리팔라인어의 화자수를 정확히 기술하기는 어렵다. 리팔라오네인 전체 중에 75%가 유나・리팔라오네인이라고 한다면 모어(제1 언어) 화자의 수는 4억 1400만명부터 28억 1400만명 사이로 추정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해 제국에 퍼져있는 제2 언어로써의 화자의 수를 더하면 80억명 전후가 아닐까 생각된다.

 유나・리팔라오네인, 베피스인, 라네메계 리팔라오네인이 주로 모어화자로 존재하며, 제 2언어 화자로는 유게인, 파이르타파・라네메인, 리나에스트인이 대부분이다. 소수의 화자 민족으로 촐마르인, 찬타인, 북방계 라페아인, Ancutavaist, Mancutavaist 등이 있다.

 리팔라인어는 넓고 국제적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특정한 산업과 연관되고 있지는 않지만, 예스카주의 등의 사상이나 웰푸프와 관련된 기술은 리팔라인어를 퍼트리는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0.3. 교육・미디어・활성화율

 유에슬레오네 연방에서는 필리피아력 2005년 10월에 언어집중정책(LZEL)가 책정되며, 그 중 '다수파 사회·언어교육'과 국민통합의 언어로써 현대표준 리팔라인어가 모든 국민에게 무료로 교육되고 있다. 하타왕국이나 PMCF에서는 중요한 외국어라 하여 중요 외국어과목으로써 다뤄지며 활성화율이 높다.

 리팔라인어 미디어나 저작물의 출판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고전적인 텍스트로써 스큘리오티에 서사시나 종교문헌 등도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1. 문자와 발음

1.1. 문자

1.1.1. 문자 일람

1.1.1.1. 문자의 개요

 현대 표준 리팔라인어(이하 리팔라인어)는 뒤튀슨 리파셰(리어: dytysn liparxe, '새로운 리파셰')를 사용하여 표기된다. 뒤튀슨리파셰는 기본적으로 30문자가 사용되나, 이를 포함해 기호나 특수한 상황 하에서 사용되는 기호도 존재한다. 뒤튀슨 리파셰에는 아래의 표에 적힌 활자체 이외에 비석문체, 서적체, 필기체, 글씨체 등의 자형이 존재한다.

 뒤튀슨 리파셰는 하나의 문자가 하나의 모음이나 자음과 같은 음소를 표시하는 알파벳이며, 기본적으론 맞춤법 규칙에 따라 읽힌다. 숫자를 제외하고 맞춤법 규칙을 따르지 않고 단어를 읽는 방법은 거의 없다.

 현실세계에선 뒤튀슨 리파셰를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으므로 라틴문자 전사로 작성되는 경우가 많다. 이하의 표와 같이 라틴문자와 뒤튀슨 리파셰 사이에는 거의 일대일 대응이 존재한다.

1.1.1.2. 글씨체

앞서 말했듯 뒤튀슨 리파셰에는 활자체 이외에도 복수의 글씨체가 있다. 특히 현대에는 필기체가 필기 시의 글씨체로써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개인마다 필기체의 형태가 크게 다른 것도 사실이기에 주의해서 읽을 필요가 있다.

비석문체나 서적체는 본래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지만 현대에는 장식용으로써 사용되고 있다.

1.1.2. 문자의 명칭과 음가

 영어의 알파벳이 에이, 비, 씨 등의 문자명을 가진것과 같이 뒤튀슨 리파셰에도 문자명이 있다. 여기에선 각 문자의 문자명과 음가에 대해 해설한다. [역주: 문자 이름의 한국어 표기는 '초보자를 위한 리팔라인어'를 참고할 것]

1.1.2.1. 모음

 리팔라인어에는 모음이 총 6개 있다. 아래의 그림은 모음 음소가 나타내는 음가의 범위를 표시하였다.

라틴문자 전사

이름(전사)

이름(가나)

표준음

자유 변이음

i

ir

イー

[i]

y

xenonen

ur

シェノネン

ウー

[y], [ju], [ɨ]

[ʏ] ,[y ̃] ,[ʏ ̃] , [ɨ ̃]

u

ur

ウー

[u], [ɯ]

[ɔ]

o

or

オー

[o]

[ɔ]

e

er

エー

[e] ,[ɛ]

[ɤ], [ɪ]

a

ar

アー

[a] ,[ä]

[ɐ] ,[ɒ] ,[ɑ] ,[ʌ]

모은에는 장단음이 존재하며 리팔라인어는 이 장단음의 대립을 구별한다.

장모음을 표기할 때는 모음의 뒤에 r을 붙인다.

        Le 레 -보다도

        Ler 레- -부터, -에 의해

또한 리팔라인어에선 모음을 강모음 a, o, e와 약모음 i, u, y로 분류한다. 이는 뒤에 나올 발음규칙과 관계된다.


1.1.2.2. 자음

라틴문자 전사

이름(전사)

이름(가나)

표준음

자유 변이음

p

per

ペー

[p]

t

ter

テー

[t]

d

der

デー

[d]

k

ker

ケー

[k]

g

ger

ゲー

[g]

[ɣ]

z

ts

zer

ter ser

ツェー

テー・ゼー

[ts]

m

mer

メー

[m]

n

ner

ネー

[n]

f

fer

フェー

[f]

v

ver

ヴェー

[v]

c

cer

セー

[s]

s

ser

ゼー

[z]

[d͡z]

x

sh

xer

ser her

シェー

ゼー・ヘー

[ʂ]

[ʃ]

w

wer

ウェー

[w]

b

ber

べー

[b]

j

jer

イェー

[j]

[ʝ]

l

ler

レー

[l]

[ɾ]

q

qer

クェー

[kw]

h

her

ヘー

[h]

r

rer

レー

[r]

ch

cer her

セー・ヘー

[t͡ʃ]

dz

dzer

ジェー

[ʐ]

[d͡ʑ], [ʒ]

ng

ner ger

ネー・ゲー

[ŋ]

fh

fher

フェー

[ɸ]

vh

vher

ブェー

[β]

th

ter her

テー・ヘー

[θ]

dh

der her

デー・ヘー

[ð]

kh

ker her

ケー・ヘー

[χ]

[x]

rkh

rer ker her

レー・ケー・ヘー

[ʁ], [ʀ]

rl

rer ler

レー・レー

[ɹ], [:l]

대문자와 밑줄친 문자는 라틴문자 전사에서는 두 글자이지만 리파셰에서는 단일 문자로 표기한다.

1.1.2.2.1. rer의 취급

r에는 2개의 문자(hrlich, reichat)가 대응되는데, 이들의 사용법을 나누는 규범이 여럿 존재한다. 아래를 참조할 것.

1.1.2.2.2. f, fh, v, vh의 구별에 대한 회의론

f, fh, v, vh는 수립된 표기법에 발음이 이끌려 만들어진 대립이며, 원래 리팔라인어에 존재하지 않던 대립이고 실제로는 혼동이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설이 있다.

1.1.2.2.3. y의 발음 선택 (textircapoler)

리팔라인어에는 y의 발음법이 두 가지가 있어 각 지역 또는 화자마다 발음이 다르다. 유게인이나 라네메인 등의 사이에선 [ju]로 발음하며 리팔라오네인 사이에서는 [y]로 읽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어떻게 읽던지 간에 사투리라는 인식은 거의 없다.

1.1.2.2.4. 전사 시의 분리기호 ъ

라틴문자 전사 시에 "nef-hiarbet-ili'a"와 같이 fh, vh, dz가 아닌 f-h, v-h, d-z의 뒤튀슨 리파셰로 두 글자가 연결된 경우에는 그 사이에 분리기호 ъ를 붙여 구분한다.


1.1.2.3. 기호

기호 전사

리팔라인어 명칭

사용법

.

larl

문장 끝을 표시. 성과 이름 사이에 채워넣기도 함(12.2.1.).

,

arlat

일부 접속사의 앞이나 뒤(주로 뒤)에 옴으로써 병렬을 표시.

!

Xelerdaven akrapt

감탄사, 문장 끝에 두어 놀람이나 강조를 표시.

?

Hmeinen akrapt

의문사, 문장 끝에 두어 의문을 표시.

nakrapt

어포스트로피, 여러 용법이 있다.

  1. 약모음의 뒤에 두어 반모음화 되지 않음을 표시.
  2. r의 앞에 두어 장음화 되지 않음을 표시
  3. 두 글자 각각이 하나의 발음임을 나타내는 철자로 각각을 나누어 발음하는 것임을 표시.
  4. 고전 리팔라인어를 따라 모음과 자음을 이어 발음하지 않음을 표시.

“…”

flandzoven xefdo

인용이나 대사 등에서 사용하는 인용부호이다. 일반적으로는 flandzoven xefdo이나 licxaven xefdo가 사용된다. xefdo는 고풍스러운 인용부호이며, licxakungen xefdo는 그다지 일반적이지 않다.

:…:

kadlarlen xefdo

<…>

licxaven xefdo

«…»

licxakungen xefdo

...

3’d larl

3점 말줄임표, 끊어진 말이나 설명이 뒤에 계속됨을 표시한다.

:

kadlarl

콜론, 여러 용법이 있다.

  1. 시간이나 연월일을 구분하는데 사용된다.
  2. 계사 “es”를 표기.

\

sur

PMCF에서 사용되는 통화 기호를 표시한다.

$

ledz

유에슬레오네 연방에서 사용되는 통화기호를 표시한다.

@

io

후치사 io를 표시하는 합자

&

la

명사화 전치사 la를 표시하는 합자.

`

ernlarl

강세 기호, 여러 용법이 있다.

  1. 시 등에서 i, u, y의 위에 붙여 반모음화 되지 않음을 표시.
  2. 차용어의 경우
  1. 벨피스어의 é를 이어 묵음자의 모음을 표시.
  2. 파이그어 전사 시에 일종의 성조를 표시.
  1. 강세의 위치를 표시.

1.2. 발음

1.2.1. 정의

  1. 같은 자음자를 중첩한 것을 "촉음(telokners)"이라 부르며, 장자음으로 발음한다.
  2. dz, x, sh, ch를 "연자음/약자음(ixtrixerfinisn)"이라 부른다.
  3. a, o, e, 모든 장모음을 "강모음(xerfinisnejt)"이라 부르며, i, y, u을 "약모음(xerfinisertz)"이라 부른다。

1.2.2. 구・문어 공통 발음규칙

  1. i의 뒤에 모음이 오면 j로 발음한다.
  2. y, u의 뒤에 모음이 오거나 모음 뒤의 음절 끝에서는 [ɥ], [w]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다.
  3. 모음의 뒤에 r이 오면 장모음이 된다.
  4. j의 앞뒤로 모두 모음이 오지 않는 경우에는 i로 발음된다.
  5. 모음의 뒤에 i, u가 오고 (사이에 '가 들어가도 됨) 그 뒤에 r가 오지 않는 경우엔 j, w로 바꾸어 발음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iu, yu의 u는 w가 되지 않는다.
  6. ph는 f나 p로 발음한다.
  7. s의 다음에 모음이 없는 경우 [s]로 발음한다.
  8. 연자음 +i/j+V의 음절에서 i/j가 발음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1. 발음되지 않는 경우, V는 장모음화된다.
  1. tz, sx, ddz, tth, ddh는 z, x, dz, th, dh의 촉음으로 읽는다. (하지만, cx는 x의 촉음이 아니다)
  1. 본래 cx는 x의 촉음이 아니지만 최신 발음에서는 촉음으로 다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잘못된 발음이라는 규범의식이 작동하는 경우가 많다.
  1. 어미의 -en(특히-nen)의 e는 [ə]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다.
  2. 어미의 -gen은 [ɣ(ə)n]으로 발음될 가능성이 있다.
  3. ni+V, nj+V는 [ɲ]이 된다。
  4. sjV의 발음은 /zj/, /sj/의 두 종류가 인정된다. 직후에 모음이 오지 않는 sj는 반드시 /zi/
  5. 연자음 + iu는 Cu로 발음한다.
  6. 연자음j + y는 Cju로 발음된다.

1.2.3. 구어의 예외발음

  1. 어말의 p(p), t(t), k(k)는 내파음이 되는 경우가 있다.
  1. 이에 해당되지 않는 이중자음어미는 -ss와의 유추로 단자음화될 수 있다.
  1. Vu, Vw의 V는 ə가 될 수 있다.
  2. l은 [ɾ]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3. 음절 끝의 l은 [ʟ]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4. l의 약화나 l-vocalization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mal /maw/과 같이)
  5. 성절자음 n̩, l̩ 등이 나오는 경우가 있다. (knloan이나 notul 등)
  6. 강세 모음은 장모음화된다(xale [ˈʂa:le], male [ˈma:le] 등)
  7. erl의 e는 ə가 되는 경우가 있다.

1.2.4. 음렬의 금지사항

snyrrsyu는 snyrirsyu이 된다. 하지만 유일한 예외로 afeneljrfa를 제한다.

rl가 [ɹ]이 된 것도 이런 규칙으로 부터 유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2018년 11월 8일에 고찰됨

Falira.lyjotafis의 인상으로, 증명되지는 않았다.

1.2.5. 연음

단어가 연속된 경우에 발생하는 발음이나 음운의 변화를 연음이라 한다. 리팔라인 언어에서는 그 어떤 연음도 반드시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화자가 자유롭게 연음을 선택할 수 있다. 단어 안에서 발생하는 연음을 내연음이라 부르며, 단어 사이에서 발생하는 연음을 외연음이라 부른다.

1.2.5.1. 내연음

1.2.5.1.1. 단어 계열

리팔라인어의 단어에는 단어 계열이 부여된다. 단어 계열은 단어의 가장 마지막 모음 (어간모음)에 의해 분류된다.

어간모음

단어 계열

a(r),o(r)

붉은 계열

계열 1

flarska, lyjot, fqa, pernal

e(r),i(r)

푸른 계열

계열 2

lineparine, meiaqerz, harmie, alefis

u(r)

검정 계열

계열 3

ydun, sysnul, kraxaiun, liestu

y(r)

무늬 계열

계열 4

nyey, dijyk, snyr, chely

계열은 완충음의 적용과 연관되며, 완충음 적용은 항상 단어의 최종 모음에 의해 결정되는 단어 계열의 영향을 받는다.


1.2.5.1.2. 완충음

접사가 단어에 붙을 때, 자음 또는 모음이 연속하는 것을 막기 위해 주입되는 음을 완충음이라 부른다. 모음이 연속하는 것을 막는 완충음을 완충자음, 자음이 연속되는 것을 막는 완충음을 완충모음이라 부른다. 또한, 일부 형태소 (-j, -t 등)이 연결되는 때에는 완충음을 넣어서는 안되는상황이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완충자음

완충자음 예시

완충모음

완충모음 예시

붉은 계열

계열 1

-v-

flarska + -en

flarskaven

-a-

lyjot + -‘s

lyjota’s

푸른 계열

계열2

-rg-

lineparine + -en

lineparinergen

-e-

alefis + -’s

alefise’s

검정 계열

계열 3

-m-

liestu + -en

liestumen

-u-

sysnul + -’s

sysnulu’s

무늬 계열

계열 4

-l-

chely + -en

chelylen

-i-

dijyk + -’s

dijyki’s

조음접두사

-eu/eu-

발음하기 어려운 자음연속에 대해 적용한다

1.2.5.1.3. 안트베르(antverr)

써져있는 철자에 대해 완충자음이나 완충모음을 삽입하거나 탈락시켜 읽는 것을 안트베르(antverr)라고 한다.예를 틀어 mylona'd 라고 써져있는 문자열을 mylon'd 라고 읽으며, mylon'd 라고 적힌 문자열을 mylona'd 라고 읽는 것을 말한다. 지역차나 개인차, 모음에 따라 발생하며, 리팔라인어 모어화자에서도 발생한다. 완충음의 유무로 구별하는 단어가 안트베르 되는 경우는 없으며, 안트베르되어 만들어진 단어와 원래 단어 사이에 의미가 달라진 경우 니샨트베르(nixantverr, 잘못된 안트베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waxunderger((WP학 사차원공간적)이세계인)을 안트베르시킨 waxundeer '이세계・와슌데나르의 사람'은 의미가 변화되어 버렸기에 니샨트베르가 있다. 니샨트베르는 주로 단어를 공부 중인 아이나 외국인이 모음화자의 안트베르를 흉내내고자 과잉수정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lersa’i (기존 형태소)

lersav’i (안트베르 예)

farteven’s (기존 형태소)

fartevene’s (안트베르 예)

verliestraven (기존 형태소)

verliesteraven (안트베르 예)

1.2.5.2. 외연음

1.2.5.2.1. 연자음 및 촉음 특수표기 규칙의 외연음

1.2.2의 9.에 해당하는 촉음화가 발생하여, 발음상 단어가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es xale [eʂːaːle] 에스 샬레 / 엣샬레

lamiet zu [lamʲet͡s:u:] 라미에트 추 / 라미엣추

1.2.5.2.2. 연모음 외연음

단어 끝에 i, u가 있어 이에 모음부터 시작하는 단어가 오면 각각 j, w가 끼어들어 발음상 단어가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mi alfarp [mijalfarp] 미 알파프 / 먈파프

alecarnu estj [alecarnuwesti] 알레사누 에스티 / 알레사누웨스티

1.2.5.2.3. 통상촉음 외연음

단어 끝의 자음과 같은 자음으로 단어가 이어지면 장자음으로 이어지며, 발음상 단어가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pusnist tierij [pusnist:je:ji] 푸스니스트 티에리이 / 푸스니스톄리이

lus ci [lus:i] 루스 시 / 룻시

1.2.5.2.4. 양순마찰음 동화 외연음

단어 끝의 자음이 양순마찰음 fh, vh, f, v, ph인 단어와 같은 유성 또는 무성 양순마찰음으로 시작되는 단어가 이어지는 경우 앞단어의 조음부위에 뒷단어의 어두가 동화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윗 절의 통상촉음 외연음도 적용되기에 장자음화되어 발음상 단어가 이어진다.

        Alsonif fha niv vhens [alzonif:a niv:ens] 알조니파 니벤스

ph와 f가 동화된 경우, ph가 p로 읽히는 것이 일반적인 단어는 동화되지 않는다.

        Alf pherce [alf:e:se] 알페세

        Alf phertars [alf pe:ta:s] 알프 페타스

1.2.6. 강세

강세는 단어의 어형에 의해 그 위치가 달라진다.

  1. 단음절 단어 → 그 모음에 강세
  2. 장모음기 없는 복음절 단어 → 단어 끝에서 두 번째 음절의 모음
  3. 장모음이 있는 복음절 단어 → 맨 처음 장모음

하지만, 구어에서 강세 위치는 규칙을 따르지 않는 경우가 잇으며, 비규범적 강세가 어떤 규칙을 따르는 지는 현재 조사중이다.


1.2.6.1. 구어의 강세

일단 아래와 같이 규칙화가 되어 있지만, 강세에 그다지 연연하지는 않기에 틀려도 큰 위화감은 들지 않는다.

  1. 단음절 단어 → 그 모음 (Ex: mál, pá, déx, ját)
  2. CVjVC → 최초 모음의 음절 (Ex: pójiv, téjien, déjix, jéjet)
  3. 두 음절으로, 장모음이 없이, 장음절이 있다면 → 최초의 장음절(gáble, lapún, záktles)
  4. 3음절 이하에서, 장모음이 있음 → 최초의 장모음의 음절 (lárde, lárdus, zérhes, tadýr, krafír)
  5. 장모음이 없지만, 장모음이 아닌 4음절 이상 → 마지막에서 두 번째(zhívi, méle, xále, jújo, agléli’es, alfi'ánte)
  6. 장모음이 있으며, 4음절 이상 → 그 장음절 (atavérgilon, vérliestraven)

・비고

・고찰중


2. 형태론・통사론

2.1. 단어의 구성

리팔라인어 문법에선 접사가 붙지 않고 단독으로 문장에 출현할 수 있는 분절을 어간이라고 부른다. 또한 어간이나 단어에 붙음으로써만 출현하는 구속형태소를 접사라고 부른다. 접사에는 어간의 앞에 연결되는 전치사 (접두사)와 어간의 뒤에 연결되는 후치사 (접미사), 적은 수지만 앞뒤로 형태소를 요구하는 접요사 (접중사)가 존재한다. 각각의 접사는 사전에서 문자열에 -를 붙여 표시한다. 표현 중에 실현될 수 있는 어간 혹은 어간에 접사가 붙은 분절을 단어라고 부른다. 현대 표준 리팔라인어에선 기본적으로 어간이 변화되는 경우는 없다.

어간

lkurf, mi, lineparine, cene…...

접두사

akru-, ata-, dzepar-, fente-......

접미사

-er, -anfy, -era, -kant…...

접중사

-v-, -a-, -l-, -e-......

단어

xel (< xel), fiurs (< fiurs), verliestraven (< ve-r-liest-r-a-v-en)

2.2. 품사 분류

리팔라인어의 단어는 용도와 통사적 용법에 따라 이하의 품사로 분류된다. 하지만 방언이나 시대에 따라 명칭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명사 (N)

문장의 중심이 되는 체언이다. 물체나 상태의 이름을 표시한다.

fqa, larta, pernal, fgir, ferlk, lyjot, dijyk, ydun...

동사 (V)

문장의 중심이 되는 용언이다. 술어로써 물체의 동작이나 상태를 표시한다.

es, firlex, mili, mol, knloan, krante, akranti, text, lkurf, is, lersse...

수식어

(Mod.)

형용사 (Adj.)

명사, 형용사의 앞에 오거나, 동사보어가 되어, 수식하는 명사나, 주어를 설명한다.

snietij, als, karnicitj, xorlnem...

동사수식어

(VMod.)

부사

(Adv.)

동사, 부사의 앞에 온다. 동사를 자세히 설명한다.

niv, felifel, xelvin, vatimel, set, ekce, nat...

특별부사

(SAdv.)

동사의 앞에 온다. 동사를 자세히 설명한다.

vel, cel...

조동사

(Aux.)

문장 앞에 위치한다. 동사를 자세히 설명한다.

cene, deliu, selene...

전치사・후치사

(Adp.)

전치사 (Pr.)

명사구의 앞에 위치한다. 단어, 절에 붙어 명사나 동사를 수식하거나 절의 의미적, 통사론적 관계를 표시한다.

faller, fal, xale, fua...

후치사 (Po.)

명사구의 뒤에 위치한다. 단어, 절에 붙어 명사나 동사를 수식하거나 절의 의미적, 통사론적 관계를 표시한다.

io, ler, xale, leus...

서법 품사

(Phs.)

서법 동사 (PhsV.)

주로 단어 끝에 위치한다. 인격, 감정, 입장, 증거성 등을 표시한다.

da, dea, lu, ly, lus, ex...

서법 동사 (PhsA.)

주로 동사의 앞에 위치한다. 인격, 감정, 입장, 증거성 등을 표시한다.

fecca, lif, tof…

접속사 (Conj.)

문장 또는 구의 사이에 들어가 이들을 이어준다.

pa, mal, cun, mag, ol...

감탄사 (Inj.)

감정이나 특정한 예의를 표시한다.

salarua, xace, nace

2.3. 품사어미

리팔라인어에선 품사어미가 여럿 있다. 다음과 같은 접사를 붙이는 것으로 품사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부 단어는 품사어미가 붙는 경우 의미가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명사

-o

동사

-es

형용사

-en

부사

-on

전치사・후치사

-an

2.4. 구의 정의

복수의 단어의 집합을 구라고 부른다.

명사구

명사를 중심으로 하여, 이를 수식하는 단어 및 구를 포함한 구. 여기서 명사를 피수식어라고 부른다.

동사구

동사를 중심으로 하여, 이를 수식하는 단어 및 구를 포함한 구. 여기서 동사를피수식어라고 부른다.

전치사・후치사구

전치사・후치사를 중심으로 하여, 단어 및 구를 포함한 구.

2.5. 어순

2.5.1. 지배적 어순

리팔라인어의 지배적 어순은 구어와 문어가 다르다. 구어의 지배적 어순은 SVO AN (주어-술어-목적어/수식어-피수식어)이며, 문어에서는 SOV AN (주어-목적어-동사/수식어-피수식어)이다.

Mi tvasnk alefis.

"저는 알레피스를 믿고 있습니다" (이세입문#48)

Mi’s alefis’i tvasnk.

"본인은 알레피스를 믿음"

하지만, 구어에서는 격어미를 붙여서 비교적 자유롭게 어순을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Mal, faixesersse’s mi’i lekhnaxaiton tydiest fal fqa melx...

"그리고, 경찰관들은 나를 끌고가 여기에 왔다, 그리고선... (eldjx#3)

M'ansajarsox' alser's, undermunder stedel.

"모두 화해하여, 세계평화가 달성된다" (ISDE#5)

2.5.2. 어순의 변경

형용사, 부사의 수식어순, 전치사, 후치사는 -j 로 반전시킬 수 있다.

Xorlnem lespli feg

"아름다운 신록의 안색" (Skyl.2:1 1:3)

Fua vent alt da

"불변의 승리를 위해" (Skyl.4:32 2:2)

Feg xorlnemj lesplij

"아름다운 신록의 안색"

Vent alt da fuaj

"불변의 승리를 위해"

부사, 형용사, 전치사, 후치사 중에는 앞뒤 모두로 수식할 수 있는 NAAN이라고 불리는 단어가 존재한다. 부정을 표시하는 Niv가 대표적으로, 이들은 동사의 앞이나 뒤에 오더라도 -j를 붙이지 않고 수식할 수 있다.


2.6. 기본적인 문장

2.6.1. 평서문

부정, 의문, 명령 이외의 일반적인 사실을 전달하는 문장을 평서문이라고 부른다.

Mi es ales.xalija.

"나는 알레스 샬리야야" (이세입문#3)

Mylonen vefistess sniejus faltetaj nass'tj.

"긍지 높은 베피사이트인들은 높은 충성심으로 상황에 따라 집합한다." (Skyl.4:32 2:3)

2.6.2. 부정문

부정문은 동사의 앞이나 뒤에 부사 niv 를 두어 표현한다. 다른 부사나 전치사가 있는 경우는 niv 가 우선한다.  niv 는 단어의 앞이나 뒤에 두어 단어를 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Miss letix niv eten surul.

"우리들에게 다른 방법은 없다" (이세입문#16)

Cirla io tonirsti, liaoll co niv nilirs.

"진정으로 신이여, 당신은 지는 법이 없다" (Skyl.3:1 1:3)

2.6.3. 의문문

의문문은 기본적으로 문장 끝에 ?를 붙이고 상승하는 억양으로 표현한다. 하지만 의문사가 붙어있는 경우나 의문 서법 품사가 있는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Da puoi fontlesen lut flanis fuaj lu v'velg ham?

"그래서 최초의 플라니자는 무엇으로 만들어진 것입니까?" (Skyl.2:9 6:3)

의문 서법 품사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룰 것이나, n, ng, eung, yrng, eun, yrn, neu, men, tirne, dorne, xerne, jarn, jarneu, jarng, jarngeu... 등을 들 수 있다. 의문사에는 harmae, harmie, harmoe, harmue, harmy, hame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단어가 있는 경우는 억양을 상승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내리는 경향이 있다. 그 외에 karx (바라다), nun (묻다) 등의 동사를 통해 질문을 하는 경우도 있다. 화자에 따라 고전 리팔라인어의 영향으로 VSO의 어순을 사용하여 질문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이지는 않다.


2.6.4. 명령문

명령문은 다음 두 방법을 통해 만들 수 있다.

2.6.4.1. 명령조동사 shrlo

기본적인 리팔라인어 명령문 제작법으로 명령 조동사 shrlo의 사용을 들 수 있다. 이 조동사를 사용한 명령문은 문어나 구어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Shrlo milion xesniepins ledyd'i!

"멈추고 손을 아래로 내려!" (이세입문#5)

Miss'd zirk elmerdiurles melx shrlo nujon niss leus.

"우리의 적이 투지에 차있다면, 그들을 즐겨라." (Skyl.2:9 6:3)

2.6.4.2. 문두 명령화

구어에서만 동사가 문장 맨 앞에 오는 경우 명령을 표시한다.

Derokramcol sirg'i!

"그 놈을 내놔!" (이세입문#49)

Xel, mi'd latasasti.

"나의 팔이여, 보라" (Skyl.4:18 6:2)

2.6.5. 감탄문

감탄이나 감격, 격정을 표헌하는 감탄문은 복수의 표현방법이 있다. 주로 감탄사로 감정의 강도를 표현하는 경우가 많으며, 명확하게 이를 표현하는 경우 firx나 Ers skylarle 등이 삽입되나 일반화할 수 있지는 않다.

Viojassasti! shrlo is zantanascheu! Farviles stoxiet farvil'i no'ceu!

"형제들이여! 무기를 손에 쥐고 푸른 깃발을 올리자!" (이세입문#6)

Firx xansti! Feg es sime'd icco le jurlet!

"대체 무슨 영주란 말인가! 국가보다 얼굴이 중요하다니!" (Skyl.2:8 6:3)


3. 명사

3.1. 명사의 수

리팔라인어의 명사는 엄밀하게 수를구별하지 않는다. 접사 -ss 는 다수성을 표현하지만 이가 붙이 않는 명사가 단수를 표현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리팔라인어 문법에서는 접사 -ss 가 붙은 명사를 복수형(Eustira)이라고 부르며, 붙지 않은 명사를 원형(Xinirftle)이라고 구분하여 부른다.

Fai tonirnascher'd fesela, siss'i lojil'c

"신족의 계보를 따라, 그들이 만들어질 때" (Skyl.2:7 1:1)

Ej, harmoe misse's furdzvok mol?

"어이, 우리들은 언제 도착하지?" (이세입문#134)

3.2. 명사의 특정성

대상이 문맥 중에 특정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특정성이라고 부른다. 특정되는 경우를 특정성, 특정되지 않는 경우를 부정성이라고 부른다. 특정성은 접사 gir-  또는 접사 -stan 을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부정성은 접사 -ste 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중에서의 부분을 표현하는 부분격 -sta 도 사용된다.

Liaxa girpesta io girlarta klie lechal'c.

"어느 날, 레치의 앞에 한 사람이 나타났다" (Skyl.1:3 6:1)

Lirs, Xolastan is hame fasta jisesnil mi’st men?

"그리고보니, 그 혁명은 내가 죽은 다음 어떻게 된거지?" (eldjx#7)

Dijykiste es vynut.

"사과라는 것은 좋다" (사전 예문)

Alve es iulosta xale deln pa…...

"축제는 의식같은 부분도 있지만……" (이세입문#175)

더욱이, 접사 gir-는 생산성이 없이 현대어에서는 합성어나 오래된 문장에서만 나타난다.


3.3. 명사의 격

문장 중간에 명사의 의미나 통사론적인 관계를 표시하는 접사를 이라고 부른다.주격, 대격, 여격, 속격, 향격, 5개의 격은 고전어에도 같은 형태로 존재하기에 전통 5격이라 불린다. 이하는 리팔리언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격을 소개한다.

3.3.1. 주격

주격 명사는 동작주와 같은 주어를 표시하며, 접사 -’s 로 표현할 수 있다.

Xan's jarlesa'i xel xale la salarua da.

"영주는 언제나와 같이 거울을 보고 있다" (Skyl.2:8 4:1)

…...pa mi niexix eso si's waxundeener'c.

"……하지만 나는 그가 이세계인이라고 생각해" (이세입문#4)

3.3.2. 대격

대격 명사는 동작 대상 등의 목적어를 표시하며, 접사 -’i 로 표현할 수 있다.

Xan's jarlesa'i xel xale la salarua da.

"영주는 언제나와 같이 거울을 보고 있다" (Skyl.2:8 4:1)

Cene xij jazgasaki es cerke'i?

"야츠가사키 오빠는 파이그 장기(세르케) 할 줄 알아?" (이세입문#33)

3.3.3. 여격

여격 명사는 간접목적어나 방향을 표현하며, 주로 동사의 격지배로써 출현한다. 접사 -’c 로 표현할 수 있다.

Co pothes lovime'c?

"발을 다친거야?" (이세입문#179)

Mili! Sties fynetj yfi’a’c mi’i!

"기다려! 나를 위피아라고 제대로 불러!" (eldjx#14)

3.3.4. 속격

속격 명사는 속성, 소유 등의 의미로 다음에 나오는 명사를 수식한다. 이는 기본적으로 접사 -’d 로 표현할 수 있다.

Pa, fi mi firlexain la lex, ci’d jutles es xorln dea.

"그나저나, 그녀의 어법은 정말 기묘해 보인다" (eldjx#9)

Lecu text blir'erchavil faller siburl'd snenik.

"운명의 날에서 행운의 시간을 골라내자" (ISDE#4)

속격은 옛 문장에서는 공동격적 의미를 강하게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lkurftlesse'd lineparine나 icco'd hata와 같은 표기에 그 특징을 남기고 있다.

Lexerlesti, ci lkurf lkurftlesse'd harmie?

"레셸, 그녀는 무슨 언어로 말해?" (이세입문#31)

Veparle’d nysnysixy nuryrrjolen oniex es la lexe’d jexerrt.

"유리창 안의 맛있어 보이는 빵이 그 증거다." (eldjx#1)

역사적 경위에 의해 수식 어순을 반전시키는 -j를 동반한 -’dj와 같은 접사는 사용되지 않으며, 대신 -’dy 를 사용한다.

Siss dúes co toxa co'dy faij tof da.

"그들은 당신의 돌을 사용해 당신을 친다" (Skyl.2:1 5:3)

Lecu fua xalija, miss fenxe elx knloanerl alve'dy!

"샬리야를 위해 축제의 음식을 가져가자!" (이세입문#184)

역사적 경위에 의해 속격 단어가 일부 동사의 주어가 되는 경우가 있다.

Liaxu co xutrusnoj felx wioll jol co’d velent.

"무시하면 큰 코 다칠지도 몰라" (싸우는 시인#2)

3.3.5. 향격

향격 명사는 동작이 특정 방향을 향함을 표시한다. 접사 -’l 에 의해 표현한다.

Fusaf luni'elink la hyrcorfilene'l.

"마음은 착각을 향해 달린다" (Skyl.2:1 1:1)

Co ulesn fentexoler e'l.

"당신은 반혁명주의자를 숨기고 있다" (이세입문#56)

옛 문장이나 관용구 등에서는 방향성이 없이 장소만을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

Kivuj kmarlikt xineveffe’l.

"고양이는 마루에 엎드려 누웠다." (사전 예문)

Niss tiexos fqa’l.

"그들은 여기에서 잔다" (사전 예문)

3.3.6. 호격

호격 명사는 기본적으로 그 대상을 호명하는 것을 표현한다. 접사 -sti 로 표현할 수 있다.

Xetten pergerssesti! Ci fastirs fal vipyx!

"젠장! 파이그인놈들! 그 놈이 주방을 폭파했어!" (이세입문#30)

Darxansti, darpansti, co's harmy tast fau si?

"가주여, 한 인간이여, 어찌 그를 배신하였는가?" (Skyl.4:24 1:1)

리팔라인어에선 명사가 독립적으로 나타날 수 없기 때문에 명사만을 적기 위해서 호격 어미가 붙는 경우가 있다. 이를 무의미한 호격이라고 부른다.

Cegsti? Harmie co lkurf?

"스파이? 무슨 소리야?" (이세입문#61)


3.3.7. 결격

결격 명사는 대상이 동작에 빠짐이 있음을 표시한다. 접사 -nerfe によって表される。

…...melx edixa la lexal io mi’st akrantierl es elx litarlenerfe.

"……그곳에서 읽었던 책은 셀 수 없다" (eldjx#7)

Pa ni xel las xale plenerfe larta niv.

하지만 그는 그와 같은 비윤리적인 사람으로 보이지 않았다" (Skyl.1:5 2:4)

3.3.8. 공동격

공동격 명사는 이와 동반하여 걸리는 동사의 동작이 행해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접사 -’tj 로 표현할 수 있다.

Felircasti! Dosnud mi'tj! Fenten niv xalija's at!

"펠리자! 나와 같이 돌아가자! 샬리야도 그만 싸워!" (이세입문#202)

Shrlo is zantanascheu calanstan'd mena'tj.

"무기를 손에 쥐고 옆 무덤에 묻힐 동포들과 함께" (ISDE#3)

3.3.9. 화제격

화제격 명사는 일부 동사나 관용구의 요소가 된다. 접사 -’sci 로 표현할 수 있다.

…...viroto faij larpi’sci delok pa…...

"……만난 건 기쁘지만…………" (eldjx#9)

Voles niv farfele's fal co'sci mels xalija ti!

"샬리야한테 이상한 짓 하면 안돼!" (이세입문#201)

Jol miss ircalart lot mili pesta'sci ex da.

"우리들은 그 때를 조용히 기다릴 뿐이다" (Skyl.2:2 6:2)

대부분 관용적으로 사용될 뿐, 현대에는 생산적이지 않다.


3.4. 명사에 붙는 접사의 순서

명사에 붙는 수, 특정성, 격 접사는 자연스러운 순서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특정성 - 수 - 격 순서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No at io lkurferstanassa'd voklisestan…...

'지금도, 그 화자의 목표는......' (문학 번역)

하지만, 시 같은 곳에서는 이를 지키지 않는 경우도 있다.

Co tvarcar n, ixenossastana's…...

"당신은 믿을 수 있겠는가, 그 고통을......" (가사 번역)

3.5. 대명사

3.5.1. 인칭대명사

리팔라인어의 인칭대명사는 열 종류가 존재한다. 인칭대명사는 인간 혹은 의인화된 존재를 지칭하는데 사용되는 대명사이다.

1인칭

mi

2인칭

co

zi

3인칭

ci

si

ni

fqa

fgir

4인칭

als

3.5.1.1. 1인칭

1인칭 대명사 mi 는 화자를 지칭한다.

Mer......ja, mi es larta.

"음…… 맞아, 나는 인간이야" (이세입문#9)

Lecu mi's da tals la l' me cel qun' la na'd mi'it ke.

"그걸 이야기해, 자네에게 지금 나를 알려주겠네" (Skyl.4:33 6:3)


3.5.1.2. 2인칭

3.5.1.2.1. 직접 2인칭 대명사 co

2인칭 대명사 co 는 청자를 지칭한다. 다음에 설명할 zi 와 구별하기 위해 직접 2인칭 대명사라고 부른다.

Cespal…… mi tidest fiunonj patimarl co es lipalain?

"미안하다...... 이상한 질문일지도 모르지만, 자네는 리팔라오네인인가?" (eldjx#8)

Sysnulustan es klantez co'd axelixfantil.

"오늘이야말로 그대의 위대한 독립기념일이다" (ISDE#1)

3.5.1.2.2. 간접 2인칭 대명사 zi

간접 2인칭 대명사 zi 는 화자 mi 가 정식 대상으로 삼고 있지는 않지만 듣고 있다고 간주되는 인간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너 뭘 몰래 듣고 있는거야"나 "(특별히 듣고 있는 티는 내지 않지만 아마 듣고 있을 터인)너는 어떻게 생각해"와 같은 경우에 사용된다. 이는 mi의 대상이 간접 2인칭으로 불리는 대상에게 말을 건네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여부에 따라 주관적으로 구분된다.

Zi niv derok lys.

"너는 부르지 않았어" (사전 예문)

Zi tilien xei lu?

"체크인은 끝나셨나요?" (사전 예문)

3.5.1.3. 3인칭

3.5.1.3.1. 3인칭 대명사 여성형 ci

인칭대명사 ci 는 화자나 청자도 아닌 여성을 지칭한다.

Lexerlesti, ci lkurf lkurftlesse'd harmie?

"레셸, 그녀가 무슨 말을 한거야?" (이세입문#30)

Ci’st flanisa’d nedirg’it diurlon cil mal xesniep mi’d feg.

"그녀는 플라니자의 소매를 흔들며 손을 모으고 이쪽의 얼굴을 보기 시작했다." (eldjx#8)

3.5.1.3.2. 3인칭 대명사 남성형 si

인칭대명사 si 는 화자나 청자도 아닌 남성을 지칭한다.

Sissepe fynet faljne las.

"그 놈들이 작당한 것은 명백하다" (ISDE#2)

Siss korlixtel lot es plorul.

"그들은 분명 불쌍하다" (eldjx#3)

3.5.1.3.3. 3인칭 대명사 중성형 ni

인칭대명사 ni 는 화자도 청자도 아닌 남성 또는 여성을 지칭한다.

N? Niss mol ete'd molal.

"응? 그 사람들은 다른 곳에 있어" (이세입문#193)

Ni's kije tas ple da ple iulo z'eukije

"그(혹은 그녀)는 탓해야 할 것이 아닌 것을 탓했다" (Skyl.4:23 1:1)

3.5.1.3.4. 3인칭 대명사 친칭 근칭 fqa

인칭대명사 fqa 는 화자도 청자도 아닌 인간을 지칭한다.

Fqassa’d xelkenepess arlemaxices fhasfa’l ly.

"이 셸켄 놈들은 누군가에게 전화를 걸고 있는 듯 했다" (eldjx#5)

fua fqa's elmal'c niv mak iso!

"이 곳이 두 번 다시 전화에 휩쓸리지 않도록" (ISDE#5)

Fqa'i m'dzart el snoipeffe, farfelon reto shrlo!

"그리하여, 벼랑까지 끌고가, 관례를 따라 죽여라!" (Skyl.1:14 1:3)

fqa와 다음에 설명할 fgir는 기본적으로 지시대명사지만, 누군가를 깔보는 경우 사람을 향해서도 사용한다.


3.5.1.3.5. 3인칭 대명사 친칭 원칭 fgir

인칭대명사 fgir 는 화자도 청자도 아닌 인간을 지칭한다.

Derok fgir mels e!

"그 놈을 불러내!" (사전 예문)

Harmae es fgir’s?

"이 놈 누구냐?" (사전 예문)

3.5.1.4. 4인칭 대명사

4인칭 대명사 als 세칭이라고도 하며, 일반적인 세계의 모두를 의미한다.

Wioll jol als lkurf untirkeno lap ilsa co da.

"모두들 너의 이야기 위에 자기 자신의 이야기만을 덮어씌우겠지" (Skyl.2:1 4:3)

Eusalar alsasti, als relod mol fal fqa?

"안녕하세요, 모두 와계시나요?" (Skyl.4:12 3:1)

3.5.2. 재귀대명사

리팔라인어의 재귀대명사는 "~자신"을 의미한다. 기존 대명사에 접사 -me 를 붙여 만들 수 있다.

1인칭

mime

2인칭

come

zime

3인칭

cime

sime

nime

fqame

fgirme

4인칭

alsame

Xel come's melx cene co firlex la lex'i.

"너 자신을 보라, 그리하면 지금 말한 것을 이해하겠지" (Skyl.4:2 6:1)

4인칭 재귀대명사는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3.5.3. 지시대명사

리팔라인어의 지시대명사는 4종류 존재한다. 이들은 물건이나 개념을 지정하는데 사용된다.

리팔라인어의 지시대명사에는 명사형과 형용사형이 있으나, 형용사형은 명사를 수식할 때 명사형에 속격을 부여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문맥 지시대명사에는 형용사형이 없다.

명사형

형용사형

직접지시

(직시)

근칭

fqa (qar, qa)

fqiu

원칭

fgir (gir)

fgiu

문맥지시

(이야기 중 지시)

전술

la lex

없음

후술

ny la lex

3.5.3.1. 근칭 직접지시

근칭 직접지시대명사 fqa 는 가까이 있는 것을 지칭한다. 통상, 예외적으로 발음 f가 탈락된다.

Fqa es luarta elmo da.

"이는 성스러운 전투인 것이다." (ISDE#1)

문체에 따라서는 qar 나 qa 와 같은 형태로 출현한다.

Cene qar'd nacy fal y ci is tavola'c.

"그녀는 서있는 상태가 되었다" (Skyl.4:25 3:1)

3.5.3.2. 원칭 직접지시

원칭 직접지시대명사 fgir 는 멀리 있는 것을 지칭한다. 통상, 예외적으로 발음 상의 f가 탈락된다.

Tenvaneuce fgir da nefxeleris ci liax pa,

"너무나 밝은 그것은 그녀의 눈을 멀게 하였으나" (Skyl.4:31 3:2)

fgir와 비슷하게 문체에 따라 gir 로 적히는 경우도 있다.

Lai forla statium'd gir'd la na tuan cel lena.

"회색 호수의 그 풍경은 레나를 떠올리게 했다" (Skyl.4:22 3:3)


3.5.3.3. 전술 문맥지시

문맥지시대명사 la lex 는 한 문장의 앞에 있는 단어나 구를 지칭한다.

Cierjustel Elmen'iars, lecu fenten la lex da!

"노동자여 단결하라, 다같이 맞서자!" (ISDE#2)

Mi mecceries fonti’a letixerl mi’st. Edixa mi tisod la lex.

"일단 자신의 소지품을 확인하자고 생각했다" (eldjx#1)

3.5.3.4. 후술 문맥지시

후술 문맥지시대명사 ny la lex 는 한 문장의 뒤에 있는 단어나 구를 지칭한다.

Mal alefis lkurf xale ny la lex anax.

"그리고 알레피스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Skyl.4:2 3:3)

Fua la lex, mi tisod ny la lex. Niss sietiv co'tj.

"이를 위해, 그들이 너와 함께 사는 건 타당하다고 생각해" (이세입문#134)

3.5.3.5. 문맥지시대명사와 직접지시대명사의 구분

일반적인 리팔라오네인의 현대표준 리팔라인어에선 직접지시대명사와 문맥지시대명사가 명확히 구분된다. 직접지시대명사는 손으로 가리킬 수 있는 상황에 사용하는 대명사이며, 문맥지시대명사는 문장 중간에 나오는 것을 지칭한다. 이 때문에 "(이야기에 등장하는)이 사과는"은 «fgir’d dijyki’s» 라고 할 수 없고 «la lexe’d dijyki’s» 라고 해야만 하며, "거기 있는 사과"는 «la lexe’d dijyk» 가 아니라 «fgir’d dijyk» 가 되어야만 한다.

 하지만 "이세계어입문..."의 리팔라인어 화자에서 볼 수있듯이, 파이클레오네에서 사용되는 라네메 어족 등에서 직접지시와 문맥지시를 구별하지 않는 알고 있는 화자는 외국인과 리팔라인어로 말하는 중에는 la lex 대신 fqa나 fgir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러한 용법은 외국인을 위한 배려로서, 원어민 사이의 대화에서는 부자연스럽게 들릴 것이다.

<la lex>'d kante es fgir ol fqa fal lkurferl.

fi selene co lkurf mels elx edixa lkurferl fhasfa'st, elx lus fqa.

"«la lex»의 의미는 말하고 잇는 내용의 '저거'나 '이거'야"

만일 네가 무언가 말했던 것에 대해 말하고 싶다면 이걸 사용하면 돼"

(이세입문#140)


3.5.4. 의문대명사

리팔라인어의 의문대명사는 7종류 존재한다. 의문대명사는 무언가를 물을 때 사용하는 대명사이다. 격이 붙지 않는 상황에 목적어로써 문장 앞에 오는 경우가 있기에 접속사로서 해석되는 경우가 있다. "왜"와 "어떻게"를 표시하는 의문대명사는 원래 접속사지만, 전통적으로는 의문대명사로서 해석되었기 때문에, 본 장에서 해설한다.

누구

harmae

어디

harmue

언제

harmoe

무엇

harmie

harmy

fontahame

어떻게

hame

3.5.4.1. 대인 의문대명사 harmae

대인 의문대명사 harmae 는 사람에 대해 물을 때 사용한다.

Lu sjaersti, harmae co es ardartirn?

"어르신은 누구신가요?" (Skyl.4:6 1:2)

Lirs, lkurfer infaynnaj l'es co es harmae.

"애초에 갑자기 말을 건 너는 누구지" (이세입문#144)

3.4.4.2. 위치 의문대명사 harmue

위치 의문대명사 harmue 는 장소에 대해 물을 때 사용한다.

Harmue fqa es apaskenj?

"그래서 여기는 어디지?" (eldjx#6)

Harmue kali'aho xici tydiest?

"칼리아호 씨는 어디에 있나요?" (이세입문#145)

3.5.4.3. 시간 의문대명사 harmoe

시간 의문대명사 harmoe 은 시간에 대해 물을 때 사용한다.

Watt! Harmoe co mol fal fqa!?

"우왓! 너 언제부터 거기 있었어!?" (이세입문#30)

Ej, harmoe misse's furdzvok mol?

"어이, 우리는 언제쯤 되어야 도착하지?" (이세입문#134)

3.5.4.4. 사건 의문대명사 harmie

사건 의문대명사 harmie 는 사건에 대해 물을 때 사용한다.

Flence elmilestan io harmie co teles?

"이런 심각한 싸움이 이루어지는 동안 당신은 무엇을 하고 있었나요" (Skyl.4:30 4:1)

Co es la tvaxntanfer'l cix tvesce i harmie'i?

"당신은 불신자를 위해 신자로써 무엇을 하나요?" (Skyl.1:15 3:3)

하지만 사건을 묻는 것 이외에도 이유를 묻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Harmie co nacees e’i

"어째서 네가 사과하는데" (eldjx#11)

Harmie xoler tat xarzni’ar’tj…...?

"어째서 혁명가가 샤츠니아와 같이 걷고 있는거지.....?" (eldjx#13)

일반적으로, harmie가 이유를 묻을 때 사용되는 경우는 목적어를 취하지 않는 자동사나, 타동사의 목적어가 이미 드러난 경우이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Harmie co lkurf?»는 "당신은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를 표현하며, «Harmie co lkurf la lex?»는 "당신은 어째서 그것을 말하는가?"로 해석된다.

 이 구분은 고전 리팔라인어로부터 유래하여, 현대어 harmie는 고전 리팔라니어의 hamie "무엇"과 hamye "왜"가 혼동되어 버렸기에 생긴 것이라고 추측된다. 명확히 "왜"를 표현하고 싶다면 후술할 harmy  등을 사용한다.


3.5.4.5. 이유 의문대명사 harmy, fontahame

이유 의문대명사 harmy 는 동작의 이유에 대해 물을 때 사용한다.

Harmy co cil fal knloanil?

"어째서 식사할 때 손을 모으는거야?" (이세입문#74)

Zu, cene niv si firlex pa harmy co lodiel kranteerl?

"그러니까, 이해하지 못하면서도 책을 빌렸다는 건가?" (이세입문#77)

이 외에도 fontahame 라고 하는 의문대명사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Fontahame co mol fal fqa?

"어찌하여 여기에 있는 것인지 모르는가?" (eldjx#9)

Mal, fontahame xal lkurf cene pustiej?

"그래서, 어째서 일본어로 말할 수 있는거야?" (리팔라인어판 kyix#1)

후술할 hame 가 "왜"라는 의문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아마도, 현대어에서는 고전 리팔라인어  hamye "왜"의 반모음이 약화되어 혼동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Men hame co systod tvarcarvo mi'st tirne?

"대체 왜 자네는 나의 예배를 방해하는 것인가?" (Skyl.4:11 2:1)

3.5.4.6. 양상 의문대명사 hame

양상 의문대명사 hame 는 양상(어떻게, 얼마나)을 묻을 때 사용된다.

Zu hame la lex es tostesn iulo da ja?

"그건 얼마나 위대한 문제입니까?" (Skyl.1:7 3:1)

Hame no’d na mol men?

"지금 상황은 어떠한가?" (eldjx#4)


3.5.5. 총괄대명사

한 물체나 사건의 모든 것이나 전체를 지칭하는 대명사로총괄대명사라 불리며, 리팔라인어에서는 als 를 사용한다. 문어에서는 alle 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Pa, cene niv als larta furnkie fagrigecio.

"하지만, 인간이 모어를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세입문#141)

Mi firlex niv pa alsa's e'i es xale fqa.

"모르겠지만, 다들 이런 식으로 해." (이세입문#74)

3.5.6. 부정대명사

불특정한 대상을 지시하는 대명사를 부정(不定)대명사라 하며, 리팔라인어에서는 fhasfa 등을 사용한다.

Fhasfa at i mi’it xelon es niv acenlatas’i.

"아무도 나를 보고 경례하지 않는 것이다" (eldjx#1)

Mi lkurf niv fhasfa xale fgir!

"그런 말은 하지 않았잖아!" (이세입문#101)

Fevi'a'd la elmerss xel fhasfa ad fhasfa.

"페비아의 병사는 두리번두리번 거리며 주위를 둘러보았다" (Skyl.4:20 1:1)

Fhasfa’d terso es ystestunuce.

"몇몇 파벌은 과격파이다" (이세입문#126)

Selene mi veles xale fqa i co'c fal fhasfa'd liestu.

"조금만 더 너에게 이렇게 대해지고 싶어" (이세입문#96)

위의 예문과 같이 사람, 장소, 물건, 불특정한 수 등의 무엇이 있더라도 fhasfa를 사용한다.


3.6. 수사

3.6.1. 기수

기수는 수사의 기초 어간으로써 사용되는 명사이다. 이들은 기초수사 단축수사의 두 종류로 나뉘며, 전자는 일상적으로 사용되나 후자는 학문, 통신분야 등의 특수 분야에서 사용된다.

기초수사

단축수사

iu

panqa

pan

qa

tu

dqa

deu

iupqa

iup

neoqa

fa

xantaqa

xant

xenqa

xene

lekqa

lek

fentiqa

fent

기본적으로 단축수사는 기초수사로부터 qa와 그 이전의 모음자를 제거한 것이다. 하지만, 2를 나타내는 tu와 5를 나타내는 fa는 베피스어로부터 도입되었으며, 3을 나타내는 deu와 7을 나타내는 xene는 e(u)가 붙어있다.

3.6.2. 개수 표현

수사를 사용하여 개수를 설명하는 경우에는 속격으로 명사를 수식함으로써 표현할 수 있다.

Pa, mi's kornites ekce panqa'd ny l' l' nillast.

"그래서, 저는 딱 한 가지 자그마한 의문이 들었습니다" (Skyl.2:9 6:2)

Mi amol dqa’d oniex yst vesesn’c melx edixa xel cwanenala’l.

"나는 3개의 빵을 트레이에 올리고서 계산대로 향했다" (eldjx#2)

3.6.3. 단위 접사

10보다 큰 수는 기수에 이하의 단위 접사를 붙여 만들 수 있다. 접사는 그 수를 기수에 곱하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에, 10은 aniu가 아니라 anpanqa(anpan)이 된다.

an-

1/10

un-

xan-

1/100

xin-

san-

1/1000

sin-

can-

1/10000

cin-

en-

1/1억

on-

in-

1/1조

oun-

etp-

1/1경

itp-

ilt-

1/1해

elt-

pux-

1/1자

pix-

fux-

1/1양

fix-

x2

-kung

1/2

-king

x5

-nang

1/5

-ning

수사의 나열 중에는 예외적으로 속격이 붙지 않으나, 옛 문자의 경우는 이가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254000

cananaqa cananeoqa saniupqa

254000(고풍)

cananaqa'd cananeoqa'd saniupqa

백만 등을 표현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큰 단위를 먼저 나열하지만, 문법적으로는 어떻게 배열하더라도 상관없다.

50万

canananeoqa

anacananeoqa


3.6.4. 서수

서수는 순서를 나타내는 형용사이다. 서수는 기수의 어미에 -te 를 붙여 만든다.

Cossa'd lersse'it furnkieo veles lkurfo mi'st fal qate fqa'd lersse.

"여러분의 수업 변경은 두 번째 이 수업에서 발표됩니다" (이세입문#128)

…...qate io xelken es la harmie fal lojied.

"……그리고 어제 xelken은 누구야" (리팔라인어판 kyix#3)

3.6.5. 배수사

배수사는 무엇인가가 배수개 만큼 있는 것을 나타낸다. 배수사는 기수의 어미에  -tva 를 붙여 나타낸다.

Miss vaxelf denepe'd dieniepe'c qatva'i melx,

"각 자리수에 2를 곱하면, " (Skyl.2:6 3:2)

Fqa es 11/127-tva fon ci.

"이것은 그녀의 127분의 11배다" (KLP#Viesterl)

-tva는 서수와 혼동되는 경우가 있다.

Mecceries, Krandiunaliu ler qatva'd xerfnisn delantes.

"일단은 단어 끝의 두 번째 모음이 강세입니다." (사전 예문)

3.6.6. 분수

분수는 분모의 기수-sta lut 분자의 기수로 표현한다.

Xantast es liestu’d 6sta lut 1.

"샨타스트는 한 시간의 1/6이다" (사전 예문) [역주: 리팔라오네 역법에서는 시간을 6진법으로 세며, 1 xantast = 10분이다]

5sta lut 1 siekion jujol.

"1/5를 동등하게 분리한다" (사전 예문)

3.6.6.1. 분수기호 읽고 쓰기

분수의 기호표기는 (분자)(분수기호)(분모)로 적으나, 읽는 법은 3.5.6.에 설명한 것대로 이루어진다.

기호표기

발음

Fqa es 11/127-tva fon ci.

Fqa es 127sta lut 11-tva fon ci.

3.6.7. 제곱수

제곱수 표현은 접요사 -inie- 를 사용한다. A-inie-B 는 A의 B제곱을 말한다.

qavinieqa

"2의 2승" (사전 예문)

수사의 단위가 여러 개 있는 경우, -r- 을 사이에 끼워넣어 수사를 잇는다.

anpaninierganiupuriup

"10の44乗" (사전 예문)

3.6.8. 소수

소수(小数)는 분수 단위를 수사에 붙여 표시한다.

unneoqa

"0.5" (구 문법서)

unpanqa xinneoqa

"0.15" (사전 예문)

옛 문장에서는 0.01*51 과 같은 형식으로 적힌 경우가 있다.

dqa ad xinanpanqa neoqa

3+0.01(10*1+5)="0.15" (숫자 편람)

소수점은 ad로 표시한다.

dqa ad unpanqa xinneoqa

"3.15" (구 문법서 비판판)

이를 larl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는 단축수사에 이용되며, 단위 접미사는 붙을 수 없다.

deu larl pan fa

"3.15" (구 문법서 비판판)

3.6.9. 어림수

"대략 ~", "~정도의", "약 ~의" 등의 애매한 수를 표현할 때는 수사에 -ss를 붙아거나, lovik/xale/ancorten/nefeceilia/ro를 사용하는 등의 여러 방법이 있다.

Xenqassa'd ketiv anfil.

"일곱 마리 정도의 새가 멈춰있다"

(구 문법서)

Xenqa lovik ketiv anfil.

Ketiv anfil xale xenqa.

Ancorten xenqa’d ketiv anfil.

Nefeceilia xenqa’d ketiv anfil.

Ro xenqa’d ketiv anfil.

ketiv mele xenqa anfil


3.7. 옛 수사와 지시사

옛 문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옛 수사나 지시사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수사

개수

0

iesel

-

1

xostit

jusniesn

2

jodu

rosnyx

3

sinot

lujos

4

kieled

selij

5

jyvied

nievev

6

snulel

soxyx

7

nidyr

jenusn

8

lykies

roxusn

9

snovij

desel

10

sojex

stostix

nekosn

-

rolud

-

jusuv

-

dulis

-

kijut

-

근칭

중칭

원칭

의문

지시

stienyl

sisnes

stydet

leost

장소 1

nirjy

stiduk

xesiel

xokis

장소 2

jusnys

sustyr

lydiest

nytyl


4. 형용사

4.1. 형용사의 개요

형용사는 명사구의 앞에 옴으로써 수식하는 명사구를 설명한다.

Snerien ladirccosti! Verxen nyrtatasti!

"기뻐하라 조국이여! 해방의 정원이여!" (ISDE#1)

Liaxi agvir al'd elminalape's ceces!

"성미도 급한 알 군의 멍청이들이 쳐들어왔어" (이세입문#16)

또는, es나 is 등의 동사보어로써, 주어를 설명한다.

Shrlo is zantanascheu calanstan'd mena'tj.

"무기를 손에 쥐고 옆 무덤에 묻힐 동포들과 함께" (ISDE#3)

Menas ietosta'd celavylium is vazirju ly?

"수도설비 상태가 좋지 않다 그랬지?" (이세입문#62)

4.2. 형용사의 수식반전

전에 설명했듯이, 접사 -j(고어에서는 y )를 붙이면 후치수식할 수 있게 된다.

Fqa’d bexua m’es niv etxaata skles tersedznojuli’o’d larjust flenecej…...

"이 풍경이 멍청하고 돌아버린 정부파의 악랄한 위장공작이 아니라면......" (eldjx#7)

Fgir es puder xorlnemj.

"이것은 아름다운 꽃이다" (사전 예문)

Larta'c witerj mol niv knloanerl.

"예의도 없는 놈에게 먹일 밥은 없다" (사전 예문)

4.3. 형용사와 속격명사

수식어의 순서는 기본적으로 자유지만, 속격은 그 곳에서 명사절을 끊는다는 이미지가 강하기 때문에 뉘앙스가 달라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Fqa es zexi'o vixabenj mi'dy.

"이것은 나의 할머니의 사진이다" (사전 예문)

위 문장의 경우 "내가 가진 할머니의 사진" 또는 "나의 친척 중 하나인 할머니의 사진" 등의 의미임을 상정할 수 있다.

Fqa es zexi'o mi'dy vixabenj.

"이것은 할머니의 나의 사진이다"

위 문장은 "할머니가 가지고 있는 나의 사진" 또는 "할머니인 내가 가지고 있는 사진" 등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4.4. 급의 표현

"~보다 많다" 또는 "~중에 가장 많다"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기 위해 형용사에는 이라는 범주가 존재한다. 급 전치사를 형용사의 앞 (또는 반전한 경우 뒤)에 붙임으로써 이를 표현할 수 있다.

4.4.1. 비교급

형용사의 비교급은 두 사물에 대한 형용사 만큼의 차이를 나타낸다. 형용사의 앞에 le 를 놓아 그 앞의 단어가 비교대상임을 표시한다.

Pa, selene mi aklot elx kontydiesto no le xerf afuzarfrirga’it.

"하지만, 이 이상 문제를 안고 가기도 싫었다" (eldjx#12)

Selene niv mi veles retoo tel nool le loler larta'st.

"지금보다 더 많은 사람을 죽게 놔두고 싶지 않아" (이세입문#99)

Harmie alxt es le farte faller flanisa o flaniety?

"플라니자와 플라니에튀 중 누가 먼저지?" (eldjx#15)


4.4.2. 최상급

형용사의 최상급은 한 집단 중에 가장 높은 형용사만큼의 성질을 가진 것을 표현한다. 형용사의 앞에 les 를 놓아 그 앞의 단어가 최상급의 집단임을 표시한다.

alsat es les kalt ad palpten molo.

"모두 최고의 품격이며 독립된 존재이다" (ISDE#5)

Siss decafelemes les flen iulo blarda'c…...

"농노에게 심한 일을 저지르는 것에 헌신하여..." (Skyl.4:1 4:2)

4.4.3. 동등비교

형용사의 동등비교는 비교대상과 형용사의 성질이 같음을 표시한다. 형용사의 앞에 ce 를 놓아 그 앞의 단어가 비교대상임을 표시한다.

Co es laz ce foi sytet.

"당신은 라츠와 같은 키다" (사전 예문)

Fi co malfarno, elx cene co inarxt mi'l. La lex es ce vynut.

"곤란한 일이 있다면 말해봐도 괜찮지 않아?" (문예번역)

4.4.4. 이상・이하・미만

le 와 마찬가지로 이상・이하・미만을 xo, xut, xy을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Fqa es fqass xo xorlnem.

"이것은 이 이상으로 대단하다" (구 문법서)

Fqa es fqass xut xorlnem.

"이것은 이 이하로 대단하다" (구 문법서)

Fqa es fqass xy xorlnem.

"이것은 이 미만으로 대단하다" (구 문법서)

4.4.5. 급 전치사에 대한 -j

지금까지 설명한 급 전치사에 -j를 사용하면 비교대상과 형용사의 순서를 반전시킨다. 즉, le에 -j를 붙여 lej가 된 경우 형용사가 앞에, 비교 대상이 뒤에 온다.

Fqa es xorlnem lej fqass.

"이것은 저것들 보다 대단하다" (구 문법서)

Fqa es xorlnem lesj fqass.

"이것은 저것들 중에 가장 대단하다" (구 문법서)

4.4.6. 급 전치사의 축약어

비교대상을 취하지 않는 비교급 최상급에 대해서는 il, ils 이라는 단어가 사용된다. 이는 i le 와 i les 각각의 축약어이다.

Qa’d fabikant prorka is il tlest ad il jyvied.

"두 사람이 말다툼하는 소리가 점점 뭉그러지며 더 작아지고 있었다" (eldjx#18)

Snyrlylistan es ils adenitax fal kaxilijasastan.

"이 농기구는 이 마을에서 가장 주류인 것이다" (사전 예문)

또한, il, ils는i le, i les와는 해석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Als zu akranti fqa'd kranteerl'it il dat icve paltdzarl.

"이 책을 읽은 모든 사람 더 많은 지식을 얻는다"

Als zu akranti fqa'd kranteerl'it i le dat icve paltdzarl.

"이 책을 읽은 모든 사람보다 더 많은 지식을 얻는다"


4.5. 역수식적인 형용사

명사’d 수식어-o 와 같이 해석할 수 있는 형용사가 존재하여, 이를 역수식적인 형용사라고 한다.

kyrnal siert

"레몬수" (사전 예문)

Cierjustel la vefisait

"벨피스 공동체" (사전 예문)

이러한 형용사는 본래 명사였다고 생각된다. 벨피스어 등에서 후치수식 표현을 받아들이면서 이러한 표현이 문자 그대로 도입되며 리팔라인어 문법에서는 형용사로써 다뤄질 수밖에 없었다는 설명이다.


5. 동사

5.1. 동사분류

5.1.1.격지배에 의한 분류

리팔라인어의 동사는 격지배를 포함한 격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자동사

단순자동사

-’s만을 취하는 동사

dytyafly’erd, alfanustes, alfi’ante, dekut

복합자동사

-’s와 -’c를 취하는 동사

alfaovali’et, anfi’eirot, biu, celottiso

타동사

단순타동사

-’s와 -’i를 취하는 동사

akhcne, aklot, akranti, aleres

복합타동사

-’s와 -’i와 -'c를 취하는 동사

ak’in, akrunft, amcol, amol

5.1.2. 격생략에 의한 분류

리팔라인어의 동사는 구어에선 격의 생략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일반동사

동사의 전후에 올 수 있는 명사구가 -’s와 -’i로 해석되는 동사 또는 단순자동사.

lkurf, text, krante, akranti, knloan, lersse, duxien, kanti, veles, celes, fasripiet, lusven, melfert

변격동사

Mol형 동사

동사의 앞뒤에 오는 명사구가 -’s와 -’c로 해석되는 동사

mol, eska, eski, io, jur, lecistanili, perne, tydiest, virot, zirl(시어), en(시어),  tudiest(방언)

Es형 동사

동사의 앞뒤로 오는 명사구가-’s와 보어로 해석되는 동사

es, is, jella(방언)


5.1.2.1. 일반동사

일반동사는 앞뒤의 명사구가 각각 주어와 목적어로써 다뤄진다.

Alsa's kikud'i misse'c lkurf cel.

"사람들은 영어를 우리들에게 말한다" (초급서)

Cirla io, Cene co lkurf lineparine?

"정말로 넌 리팔라인어로 말할 수 있는거야?" (이세입문#7)

Ci lersse da ja mels da alefis allej.

"그녀는 알레피스의 모든 것에 대해 배웠다" (Skyl.4:3 2:3)

5.1.2.2. Mol형 동사

Mol형 동사는 앞뒤의 명사구가 각각 주어와 여격명사로써 다뤄진다.

Lael las mol harmue?

"지도라니 어디에 있지?" (eldjx#7)

Fixasti, co virot jazgasaki.cen dorne?

"フィシャさん, あなたは八ヶ崎翠と会いましたね?" (이세입문#53)

5.1.2.3. Es형 동사

Es형 동사는 앞뒤의 명사구가 각각 주어와 보어로써 다뤄진다. 보어라 함은 여격명사와 형용사를 말한다.

Fqa es luarta elmo da.

"이것은 성스러운 전투인 것이다" (ISDE#1)

Cene qar'd nacy fal y ci is tavola'c.

"그녀는 서있는 상태가 되었다" (Skyl.4:25 3:1)


5.2. 관계사

관계절은 문장을 통해 명사를 수식하는 절을 의미한다. 리팔라인어에서는 관계절을 표현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있으며, 문체나 통사론적 구조에 따라 사용이 달라진다.

5.2.1. lex V

동사의 앞에 lex 를 놓아 그 앞의 명사와 함께, 동사의 직후에 있는 명사를 수식한다. 부사가 이 동사를 수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동사가 부사에 의해 수식된 경우 명사를 수식하고 싶은 경우에는 후술할 V-en 을 사용한다. 동사를 부정하는 Niv 는 부사지만, 이 단어 만큼은 lexif 라는 특별한 형태로 사용된다. lex V가 연속할 수는 없으며, 그 때도 V-en을 사용한다.

Pa, Fqa io garcio’i lex veles oniexess es xorln.

"하지만, 여기서 팔리고 있는 빵은 특이했다" (eldjx#2)

Lex kafi'a vletwal mol unsesnonj liax.

"빛나는 창끝이 떨어졌다" (Skyl.4:29 6:2)

구어에서는 l’- 와 같은 형태로 축약되는 경우도 있다.

Ban missen tonir l'es birleen alefis io

"우리들의 신, 은총의 알레피스에게" (Skyl.1:1 banmis)

5.2.2. lexif V

동사의 앞에 lexif 를 놓으면 lex V 의 동사를 부정한 채로 명사를 수식한다. 이는 lex niv V 의 생략이라 받아들여진다.

La alefis'it lexif tvasnk la larta at…...

"알레피스를 믿지 않는 자라 할지라도......" (Skyl.1:21 4:2)

Mi’st lexif qune hartlirfa’s yuesleone’c molo es niv xorln.

"우리가 모르는 민족이 유에슬레오네에 있더라도 이상한 것은 아니다" (eldjx#6)

lexif V 는 생략형이 존재하지 않는다.


5.2.3. zu V

구어나 시어에서는 동사의 앞에 zu 를 놓아 그 뒤의 명사와 함께, zu 앞의 명사를 수식한다.

Fixa.belche zu es letixer argartanerfe la kysen’it i baxt xel la lex.

"피샤 벨체, 이 끝모를 긍정의 소유자는, 그것을 보고 들떠있었다" (eldjx#10)

Ers lkurferl zu als larta qune.

"모든 사람이 알고 있는 단어일걸" (이세입문#90)

구어에서는 z’- 와 같은 형태로 축약되는 경우가 있다.

Snenik's z'es edioll liax la sysnul'c ve vejt m'is…...

"오늘 있었던 일이 점점..." (Skyl.4:34 5:1)

5.2.4. V-en

동사의 앞에 V-en 를 놓아 그 앞의 명사와 함께, 동사의 직후에 있는 명사를 수식한다. 일반적으로는 이러한 형태로 사용하지 않고 부사나 yst  등을 동반한 동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사용된다.

Jeteson lkurfen larta

"빨리 말하는 사람" (구 문법서)

Yst saskranteen mors

"개조한 것" (구 문법서)

5.2.5. 종속절 명시 -t

종속절의 격접사나 분리표식은 종속절임을 명시하는 -t를 동반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앞에는 반드시 완충음이 들어가지 않는다.

Selene niv mi's mi'st fqa'ct molo'i elx qune.

"나는 내가 그 곳에 있고 싶지 않다는 것을 모른다" (구 문법서)

Ciss at es mi'st celdinerlss.

"그녀도 내가 도와준 사람이야" (이세입문#189)

5.3. 가명사 e

가명사 e 는 특정한 명사 대신 이용된다.

5.3.1. 명령화를 막는 e

구어에서 동사가 문장 앞에 오면 문장을 명령화한다. e는 이를 막는다.

E mol fua harmie......hnn...

"무엇을 위해... 음..." (이세입문#176)

E is tvarsnker lipalaone?

"리팔라인어 신자가 될거야?" (이세입문#180)

계사(영어의 be 동사) es 와 e 가 축약된 형태로 ers 를 사용할 수 있다.

Ers cirla felx lax alorrzelk da es niss da.

"만일 정말로 그렇다면, 역적이라 함은 그들이다" (Skyl.4:27 2:2)

Ers tvarler lu!

"도둑이야!" (eldjx#10)

5.3.2. 동사의 격지배 표시 e

리팔라인어 해설 사전(理語詳解辞書)에서는 격의 조합을 나타내기 위한 가명사로써도 사용된다.

en

【ft.i】(e's e'i e'c)Ers eskavon amolo e'st e'it e'ct.

【ft.i】(e's e io) Ers e’s molo faller I.

【ft.i】Ers veleso elminal's ternejafnao'i.

【ft.s】(e's e'c/eska) Ers tydiesto e'st eska e.

en

【타동사】(-'s는 -'i를 -'c에) 넣는다

【타동사】(-'s는 io에) 포함되다 들어가다

【타동사】(군대 등) 전개하다 배치하다

【자동사】(시어:[mol형])(-'s는 -'c/eska에) 들어가다

5.4. 동사연체형 명사

5.4.1. 동사연체형 명사 (일반)

동사연체형 명사(또는 동사파생명사)는 동사에 다음 어미들을 부착하여 만든 명사이다. 다음 어미들은 일반적,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동사로부터 여러 의미를 가진 명사를 만든다. (역주: 연체형은 우리말의 관형사형과 비슷한 개념이다.)

~함 (~하는 것, 동명사)

-o

~하는 사람

-er

~되는 것(대상, 목적어)

-erl

~할 때 (시각)

-il

~하는 곳 (장소)

-al

~하는 법 (방법)

-el

~하는 도구

-yl

~하는 상황, 상태

-ol

~하는 이유

-ul

다음은 lkurf(말하다)로 만들 수 있는 동사파생명사의 예이다.

말함

lkurfo

말하는 사람, 화자

lkurfer

말하는 것, 내용

lkurferl

말하는 때

lkurfil

말하는 곳

lkurfal

말하는 법

lkurfel

말하는 도구

lkurfyl

말하는 상황, 상태

lkurfol

말하는 이유

lkurful


5.4.2. 동사연체형 명사 (파생)

다음 어미들도 동사로부터 파생명사를 만드나, 일반적이지 않으며 위의 일반 동사연체형 명사어미로부터 유추된 것이다.

(예약)

-ar

(예약)

-ir

(예약)

-ur

(예약)

-or

(예약)

-yr

(예약)

-arl

(예약)

-irl

(예약)

-url

(예약)

-orl

(예약)

-yrl

또한, 여기서 (예약)이라고 적혀있는 접사나 단어 예시는 접사로 사용될 수도 있기에 미리 예약해놓은 어형이며, 나중에 의미를 추가할 수도 있다. -i, -a, -u, -e는 완충모음과, -y는 y류와 완충하기 때문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있다.

(예약)

lkurfar

(예약)

lkurfir

(예약)

lkurfir

(예약)

lkurfor

(예약)

lkurfyr

(예약)

lkurfarl

(예약)

lkurfirl

(예약)

lkurfurl

(예약)

lkurforl

(예약)

lkurfyrl


5.4.3. 명사를 취하는 동사연체형 명사

동사연체형 명사는 다른 명사를 취할 수도 있다.

Lirs, no io mi’st molal es fhasfa’d xorln.

"하지만, 내가 지금 있는 곳은 뭔가 기묘하다" (eldjx#1)

Mi mecceries fonti’a letixerl mi’st.

"일단 자신의 소지품을 확인해 보자고 생각했다" (eldjx#1)

동사연체형 명사는 일반적인 동사와 비슷하게 일부 격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기에는 후치수식이나 명사가 속격을 빠트리고 수식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동사의 격생략에 따라 동사구를 명사화 했다는 해석이 올바르다. 이와 같은 의미작용을 위해 동사연체형 어미는 접사라기 보다는 접어가 아닌가 하는 주장도 있다.[출처 필요]

Liaxa tanlater nixiserstan ve veles tirfao falvite'st.

"그 범죄자의 변호인은 사람들의 비난을 받게 되었다" (사전 예문)

Pestavilen surul les dytysn fiies l'es kedokel veles luso mels pepudel PCF-99 xelt-an'gil.

"PCF-99 셸트안길의 폐쇄기에는 당시 최신의 리프록이 채용되었다"

(사전 예문)

동사연체형 명사가 동사연체형 명사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어느 것이 어느 것을 취하는 지를 명확히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는 문맥으로부터 유추할 수 밖에 없다.

Jetes peno xelerl es jurlet.

"일찍 일어나는 것은 중요하다"

위의 예문에서 peno가 xelerl을 취하는 것은 문맥상 명확하다. 그 말은, 문맥을 무시한다면 xel의 주어가 peno라고 해석하여 "일찍 여는 것이 보는 것은 중요하다"로 번역하는 것도 이론상 가능하다. 그렇다 할지라도, pen xelerl가 일반적인 숙어라는 점과, 다르게 해석했을 때 뜻이 통하지 않는다는 점에 비추어 보면 기존의 해석이 적절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5.5. 태

동사의 시점을 바꾸는 특정 동사를 수반하는 구문을 리팔라인어에서는 태(voice)라고 부른다. 리팔라인어에서는 능동태, 수동태, 사동태의 3종류 태가 존재한다. 어느 것이든 문어체와 구어체에서의 표현 방식이 다르다.

5.5.1. 수동태

수동태는 동작의 대상에 대해 관심을 보2이는 태이다.

5.5.1.1. 구어체의 수동태

구어체에서는 수동동사 veles 가 동명사를 받음으로써 표현할 수 있다. (veles V+o)

:Aldarlirpa veles lazzijavo fai xol.:

"알다리파는 혁명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세입문#70)

Cenesti, hinggenferl ler co veles kantio fal sysnul at?

"센, 오늘도 힝겐펄씨한테 수업 받는 거니?" (이세입문#85)

수동동사가 취하는 동명사는 목적어를 취하는 경우도 있다.

Plorul, Niss veles aturko fentedelusonj notulo’it fai chafi’ofeseraver’d ny chafi’ofes.

"아마도, 이 점원은 불경기인데다가 위조지폐가 유통되고 있기 때문에 내 지폐를 의심하고 있는 것 같다"

(eldjx#2)

5.5.1.2. 문어체의 수동태

문어체에서는 특수부사 vel 을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특수부사는 동사의 직후에 위치한다. 특수부사를 사용한 동사는 기존 격지배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어, "(주어)는 (목적어)를 당한다"로 해석할 수 있다.

Vileti dzart vel vi'aca'd snoipeffe'c.

"빌레티는 비아사라고 불리는 절벽으로 끌려갔다" (Skyl.1:14 3:3)

Vileti unsesme vel snoipeffeinse'l.

"마침내, 빌레티는 절벽 아래로 떨어트려졌다" (Skyl.1:14 4:3)


5.5.2. 사동태

사동태는 특정 동작을 타인에게 시키는 동작이다.

5.5.2.1. 구어체의 사동태

구어체에서는 사동사 celes 가 동명사를 받음으로써 표현할 수 있다. (celes V+o)

Pa, lartassa’d dzeparlertasaler’i celes milio xale fqa.

"하지만, 인민당의 당수를 이렇게 기다리게 하다니" (eldjx#3)

Xeu'd la nal io lurfao'i celes ja zuj da……

"다음 순간에 나타난 (직역: 보여진) 빈카는..." (Skyl.4:23 5:1)

사동사가 취하는 동명사는 목적어를 취하는 경우도 있다.

Ar, Xalija celes letixo fqa mal selene mi akranti.

"아, 샬리아가 이걸 건네줘서, 읽고 싶어요" (이세입문#69)

Liaxa co laozia fafsirl gelx miss celes fyrkjavo la lex.

"너는 문제를 일으켰기에, 우리들은 너에게 마무리를 짓게 할 것이다" (싸우는 시인#4)

5.5.2.2. 문어체의 사동태

문어체에서는 특수부사 cel 를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특수부사는 동사의 직후에 위치한다. 기본적으로 특수부사는 동사의 직후에 위치한다. 특수부사를 사용한 동사는 기존 격지배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어, "(주어)는 (목적어)를 시킨다"로 해석할 수 있다.

Me, ci's jusnukeu cel da liax josto ci'd ferlk.

"그녀는 자신의 이름을 말해서 (누군가를) 놀래켰다" (Skyl.4:35 6:2)

Lecu mi's da tals la l' me cel qun' la na'd mi'it ke.

"그를 말하여, 그대에게 지금의 나를 알려주겠네" (Skyl.4:33 6:3)


6. 동사수식사

6.1. 부사

6.1.1. 부사의 개요

리팔라인어의 부사는 동사가 표현하는 동작의 의미 및 범주에 대해 자세히 설명/의미부여를 행한다. -j가 수반되지 않는 경우, 리팔라인어의 부사는반드시 동사의 직전에 위치해 동사를 수식한다.

me xan laj da farnen ve derok dodor ad fane'i lax

"공은 말과 짐을 준비했다" (LAR#60)

Anniastan xelvin mol fontalobusenonj.

"그 남자는 이미 눈 앞에 있었다" (eldjx#11)

수식방향을 반전시키는 -j를 수반한 경우, 형용사와 비슷하게 동사 뒤에서 동사를 수식한다.

Da mal ex fua ham ci's klie vej euknonjeu cial'c?

"그래서 무엇을 위해 그녀에게 간 것인가?" (Skyl.4:26 6:3)

Anniastan xelvin mol fontalobusenonj.

"그 남자는 이미 눈 앞에 있었다" (eldjx#11)

6.1.2. 부사의 급

리팔라인어의 부사는 형용사와 같이 급이 존재하며, 급 전치사는 형용사에서 사용된 방식과 똑같이 동작한다.

Larta’s routinse’d la lex le dat klie.

"사람은 작년의 그 때보다 더 왔다" (사전 예문)

Iccen lartass les flen jisesn xanastana’s.

"그 공주는 국민 중에서도 가장 비참하게 죽었다" (사전 예문)

6.1.3. 복대부사

복대부사는 주격과 대격을 동시에 지칭하는 부사이다.

1인칭

직접

2인칭

간접

2인칭

男性

3인칭

여성

3인칭

중성

3인칭

근칭

원칭

1인칭

zva

gva

kva

dzva

fva

khva

shva

phva

직접

2인칭

zvi

gvi

kvi

dzvi

fvi

khvi

shvi

phvi

간접

二인칭

zvis

gvis

kvis

dzvis

fvis

khvis

shvis

phvis

남성

三인칭

zvu

gvu

kvu

dzvu

fvu

khvu

shvu

phvu

여성

3인칭

zve

gve

kve

dzve

fve

khve

shve

phve

중성

3인칭

zvo

gvo

kvo

dzvo

fvo

khvo

shvo

phvo

근칭

zvoy

gvoy

kvoy

dzvoy

fvoy

khvoy

shvoy

phvoy

원칭

zvoj

gvoj

kvoj

dzvoj

fvoj

khvoj

shvoj

phvoj

Wioll zvoy lkurf.

"나는 그것을 (미래에) 말할 것이다" (구 문법서)

복대부사에는 -ss(주어의 복수화), -euss(목적어의 복수화), -t(종속절)가 붙을 수 있다.


6.2. 조동사

6.2.1. 조동사의 개요

조동사는 동사수식사의 한 종류로, 기본적으로 문장 앞에 놓여 태, 상, 시제 등을 나타낸다.

Edixa leche's lkurfo'i firlex villast mal…...

"레치는 그것을 듣고선..." (Skyl.1:18 2:1)

Edixa ipeics niv la doriedesse's.

"농작물이 자라지 않게 되었습니다" (Skyl.1:7 4:2)

구어체나 시어체에서는 문장 끝이나 동사의 전후에 와도 되지만 비교적 망가진 말투로 들리게 된다.

Mag, relodass ycax ziechijavol edixa.

"그 때문에, 가족들은 모두 자세를 바로잡았다" (Skyl.4:12 2:2)

Men harmae jisesn edixa falirla?

"대체 누가 죽은 것입니까?" (Skyl.4:11 4:3)

조동사의 부정은 동사의 부정과 비슷하나 표준적으로는 niv를 뒤에 붙인다.

......pa cene niv akranti la lex lapj letixo mi’st akrantianfy’st.

"……그렇지만, 타칸어를 읽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읽을 수 없었다" (eldjx#1)

Mi pusnist niv co pa elx deliu niv tydiest ete'c.

"막지는 않겠지만 다른 곳에 가지는 말아줘" (이세입문#54)

6.2.2. 시제조동사

현대 표준 리팔라인어에서는 과거나 미래와 같은 시제(tense)를 조동사를 통해 표현한다. 과거는 edioll 을, 미래는 wioll 를 사용한다. 무표지는 현재형이 아니라 시제를 정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melx edioll deliu mi tidest la lex.

"……그렇다면, 나에게는 물어봐야 할 것이 있었다" (eldjx#19)

wioll m'adurt com da lax co's reto'l eung

"너는 죽으러 가는 것인가" (LAR#67)

Edioll mi tydiest tokio'd ispien avarpecve'l y io nestile'd snenik.

"어제 동경국제전시회에 갔다" (사전 예문)

6.2.3. 상조동사

상(aspect, 문법상)은 행위의 진행도나 진행에 관련된 내용을 표시한다.무표지는 특정 상이 아니라, 상을 정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6.2.3.1. 시작상 liaxi

시작상(개시상)은 그 생위가 막 시작했음을 표현하는 상이다. 이를 위해서 liaxi 라는 조동사를 사용한다. 한국어로는 "...하기 시작했다"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Liaxi mi jel ci’d volesel la vxorlnajten’c.

"그녀의 성장 과정에 흥미가 생기기 시작했다" (eldjx#10)

Mal, fevi'a es farnen mels elmo liaxi.

"그리하여 페비아는 전투를 준비하기 시작했다" (Skyl.4:17 5:1)

6.2.3.2. 지속상 liaxu

지속상(존속상)은 그 행위가 행해지는 도중임을 표현하는 상이다. 이를 위해서 liaxu 라는 조동사를 사용한다. 한국어로는 "...하고 있다"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Liaxu co tesyl lot lkurf lineparine.

"리팔라인어라면 제대로 말 하고 있어" (이세입문#156)

Liaxu mi tisod pa mi firlex niv.

"생각하는 중이지만, 잘 모르겠습니다" (이세입문#87)

6.2.3.3. 완료상 liaxa

완료상은 그 행위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상이다. 이를 위해서 liaxa 라는 조동사를 사용한다. 한국어로는 "...했다"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Liaxa mi fiur tojil veafelz fal pesta.

"안좋은 예감이 들었다" (eldjx#7)

Niv, Wioll liaxa co xel fqa melx lecu miss ycax lefhil.

"아니, 이걸 보고 나서 손톱을 깍는거야" (이세입문#158)

6.2.3.4. 완료지속상 liaxe

완료지속상은 그 행위가 완료된 후 지속적인 영향이 있었음을 의미한다. (역주: 본문에서는 6.2.3.1의 문단이 그대로 적혀있으나 실제로는 뜻이 다르므로, '초보자를 위한~~'의 해석을 준용) 이를 위해서 liaxe 라는 조동사를 사용한다. 한국어로는 "...된 상태다"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Liaxe harmie co dzart niv lech fal fqa anne.

"네가 레치를 데려오지 않고 태평하게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Skyl.1:13 3:1)

Liaxe cene niv co'sci lkurf lineparine ja?

"너는 리팔라인어로 말할 줄 모르는 것 아니었나?" (이세입문#126)

6.2.3.5. 결과상 liaxo

결과상은 그 행위가 다른 행위를 불러일으켰음을 나타내는 상이다. 이를 위해서 liaxo 라는 조동사를 사용한다. 한국어로는 "..하여 (무엇인가가 일어났다)"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simerguston ezon tisod surul liaxo.

"그 나름대로의 생각이 있어서였다" (Skyl.4:17 6:3)

...melx liaxo mi arcies lkurferl ci’st melx...

"그녀가 말하고 있는 것을 잘 들어보면..." (eldjx#12)

6.2.3.6. 결과지속상 liacy

결과지속상은 그 행위가 끝나고 나서, 다른 동작이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선형적인 상이다. 이를 위해서 liacy 라는 조동사를 사용한다. 한국어로는 "...하여, ...하고 있다"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Liacy lech tvarcar fadolernil'c falirla.

"레치는 며칠이고 기도하는 것을 멈추지 않았다." (Skyl.1:7 6:1)

Firlex, liacy mi ny kenis.

"그러고보니, 떠오른 것이 있었다." (eldjx#7)

6.2.3.7. 반복상 liaoll

반복상은 그 행위의 반복, 습관성을 나타내는 상이다. 이를 위해서 liaoll 라는 조동사를 사용한다. 한국어로는 "(자주) ...한다. ...해왔다"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Liaoll deliu kynte mol nasteolen larta fua als iulo.

"지도자로써 모든 사상에 만전을 기하지 않으면 안된다" (eldjx#1)

La mylonefferger da dzarhal liaoll ex.

"교만한 자는 몰락하게 되어있다" (Skyl.4:20 6:3)

6.2.4. 시제와 상의 축약어

구어에서는 시제와 상을 동시에 하나의 조동사로 나타낼 수 잇는 단축조동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liaoll은 관례적으로 여기에 포함된다.

상 없음

시작

지속

완료

완료

지속

결과

결과

지속

반복

(-oll)

(-xi)

(-xu)

(-xa)

(-xe)

(-xo)

(-cy)

(-oll/al)

무시제

(lia-)

liaoll

liaxi

liaxu

liaxa

liaxe

liaxo

liacy

liaoll

과거

(edi-)

edioll

edixi

edixu

edixa

edixe

edixo

edicy

edial

미래

(wio-)

wioll

wioxi

wioxu

wioxa

wioxe

wioxo

wiocy

wioal

6.2.5. 서법 조동사

서법(mood)은 행위에 대한 화자의 태도나 의도를 나타낸다. 무표지는 특정 서법이 아니라 서법을 정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6.2.5.1. 명령 조동사 shrlo

명령 조동사 shrlo 는 명령을 표현하는 조동사다. 구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동사를 맨 앞에 두는 것으로 명령을 표현하기 때문에 문어에서 주로 사용된다.

Pa mi's ja mol pleon y gelx shrlo co's vietist.

"하지만, 나는 올바른 것일지니, 자 답해보아라" (Skyl.4:35 4:3)

Ispienermedarneust shrlo da enomionas!

"국제공산주의활동이여, 연합하라!" (ISDE#1)

6.2.5.2. 권장・의무 조동사 mole

권장・의무 조동사 mole 는 권장이나 의무를 나타낸다. deliu 와 혼동되는 경향이 있다.

Ny vilartiust'i es mole niv fua lasyk.

"간단히 하기 위해 익숙하지 않은 방법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Skyl.4:6 6:2)

Co set junarle gelx mole morliul.

"심한 상처네, 치료해야겠어" (이세입문#195)

6.2.5.3. 의사 조동사 jol

의사 조동사 jol 는 의사나 가능성, 자발적인 것을 나타낸다. 고어에서는 가능성을 maki 라는 조동사를 사용하여 표현하였으나, 현대에는 jol에 흡수되었다.

Mi mol sularuna pa sulaun niv jol.

"졸리지만 자지 않을 것이다" (사전 예문)

Jol niss metista es enforle ly.

"그들은 손님이겠지" (eldjx#2)

6.2.5.4. 의무・권장 조동사 deliu

의무・권장 조동사 deliu 는 의무나 권장을 나타낸다. mole 과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

Lkurf celx deliu mi qune mal firlex mels ciust.

"말해주세요, 당신의 행위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입니다" (Skyl.4:30)

Deliu wioll hame miss sietiv fasta no?

"우리들, 이제 어떻게 살아가면 좋을까?" (이세입문#175)

6.2.5.5. 가능 조동사 cene

가능 조동사 cene 는 가능함을 나타낸다. 리팔라인어에서는 상황가능과 능력가능을 구분하지 않는다.

Nat niv xelerl’i elx cene niv snardze pelx…...

"아직 보지 못한 것을 단언할 수는 없지만……" (eldjx#7)

Dzeparxarzni'arsti, cene co lkurf mi'd ferlk?

"제파샤츠니아, 제 이름을 말할 수 있나요?" (이세입문#179)

Fevi'a'd la elmerss elx cene niv tastalst.

"페비아의 군인들은 감히 도망칠 수 없었다" (Skyl.4:20 5:2)

6.2.5.6. 희망 조동사 selene

희망 조동사 selene 는 희망을 나타낸다.

Selene mi knloan kysen jujoj...... Cun, no es esil lurli'a'it

"따뜻한 음식이 먹고 싶다...... 그러니까, 루리아 축제 시기잖아" (이세입문#175)

Xarzni'arsti, selene mi velbarle pesta la lex.

"샤츠니아 씨, 그 전에 베르발레가 하고 싶은데요" (이세입문#177)

6.2.5.7. 의사 조동사 lecu

의사 조동사 lecu 는 의사를 나타낸다.

Plax, tydiest co's lecu mal plasi mels alefis

"자, 가서 알레피스 님에 대해 알려주세요" (Skyl.1:9 5:3)

Lecu mi's da tals la l' me cel qun' la na'd mi'it ke.

"그것을 말해, 자네에게 지금의 나를 알려주겠네" (Skyl.4:33 6ː3)

6.2.5.8. 금지 조동사 fe

금지 조동사 fe 는 금지를 나타낸다.

Viojssasti! fe ydicel la lex.

"형제들이여! 무엇을 두려워하는가" (ISDE#1)

Ai'r tvasnko'd tarmzi lkurf niv elx fe lkurfo lineparine

"아일인의 신앙에 대한 황제의 의견에 따르면 리팔라인어를 말해서는 안 된다고는 하지 않았다"

(이세입문#207)

Fe larta xel dexafel filx elx veleser ycaxo fal esil la lex'it.

"베이는 사람 말고는 불을 봐서는 안 돼" (이세입문#158)

6.2.5.9. 불필요 조동사 fenxis

불필요 조동사 fenxis 는 불필요를 나타낸다.

Xola’d ckurjaver l’es mi is zantanasch melx fenxis elm.

"혁명의 선도자인 내가 무장하여 싸울 필요는 없었다." (eldjx#5)

Fenxis miss ydicel normtaver da.

"더 이상 우리는 학살자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ISDE#2)

6.2.5.10. 소극적 희망 조동사 fi

소극적 희망 조동사 fi 는 소극적인 희망을 나타낸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fi는 조건절을 만들어내는데 사용된다.

Fi mi lius cene werlfurp'i.

"내가 웰푸프를 사용할 수 있다면 말이지" (사전 예문)

Fi tysnen sipe.

"놈을 쓰러트리고 싶은걸" (사전 예문)

6.2.6. 조동사의 수식제어류

6.2.6.1. eo lex

문두에 위치한 조동사는 관계절이나 조동사 연체형 명사의 동사에도 적용된다.

Jol selene si lkurf lkurferl.

"그는 말하고 싶은 것을 말하고 싶을 것이다" (초심자)

이를 나누기 위해 eo lex 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Jol selene si lkurf eo lex lkurferl.

"그는 말하는 것을 말하고 싶을 것이다" (초심자)

기본적으로 이는 동사의 바로 앞에 붙으며, 조동사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eo lex와 동사의 사이에 들어간다.

Jol selene si lkurf eo lex deliu lkurferl.

"그는 말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을 말하고 싶을 것이다." (초심자)

구어에서는 elx 라는 생략성이 사용된다.

Jol selene si lkurf elx lkuferl.

"그는 말하는 것을 말하고 싶을 것이다." (초심자)

구어에서 조동사가 문장 끝에 오는 경우, elx는 반드시 생략된다.


6.2.6.2. elxif

eo lex niv 를 구어에서는 elxif 로 생략한다.

Tvaxntanfer es xale elxif icverger gia'it.

"불신자는 마치 보물을 받지 않는 자와 같다." (Skyl.2:2 1:1)

6.2.6.3. elxify

조동사의 효력을 이어주나, 그 이후의 조동사에 대응하는 극성 (긍정/부정)을 반전하기 위해 elxify 를 사용한다. 이는 동사의 앞에 있지 않아도 된다.

Cene mi lkurf lineparine pa elxify ni lkurf lineparine.

"나는 리팔라인어를 말할 수 있으나 그는 리팔라인어를 하지 못한다." (사전 예문)

6.2.6.4. 조동사의 수식제어류와 접속사의 축약어

조동사의 수식제어에 관련된 단어와 일부 접속사는 축약형이 존재한다.

elx

elxif

elxify

pa(역접)

pelx

pelxif

pelxify

mal(순접)

melx

melxif

melxify

cun(이유)

celx

celxif

celxify

mag(설명)

gelx

gelxif

gelxify

zu(관계절 전치사)

zelx

zelxif

zelxify

ad(병렬)

delx

delxif

delxify

i(폐절)

jelx

jelxif

jelxify

Selene NIV mi m'is valgante, icve en'iar pelxif veles karseo feyl'i laivnejte'l.

"나는 발간테가 되고 싶지도 않고, 일도 할 필요 없지만, 큰 길까지 가는 길을 가르쳐 주었으면 한다." (싸우는 시인#4)


6.2.6.5. 조동사의 수식제어류와 전치사의 축약어

조동사의 수식제어와 관련된 단어와 일부 전치사는 축약형이 존재한다.

elx

elxif

elxify

fal

falx

falxif

falxify

io

iolx

iolxif

iolxify

el

eulx

eulxif

eulxify

pesta

pestrie

pestrexif

pestrexify

fasta

fastrie

fastrexif

fastrexify

le

leceu

leceuxif

leceuxify

les

lecceu

lecceuxif

lecceuxify

il

ilx

ilxif

ilxify

ils

ilxe

ilxeif

ilxeify

dalle

dallelx

dallelxif

dallelxify

xale

xallelx

xallelxif

xallelxify

eska

eskalx

eskalxif

eskalxify

eski

eskilx

eskilxif

eskilxify

fai

failx

failxif

failxify

faller

fallelx

fallelxif

fallelxify

filx

fillelx

fillelxif

fillelxify

fon

folx

folxif

folxify

fua

fulx

fulxif

fulxify

la

alx

alxif

alxify

melet, mele, mel

meux

meuxif

meuxify

mels

belx

belxif

belxify

Edixu siss yst lkurf belx jol wioll voleserl.

"그들은 일어날 일들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었다." (사전 예문)


6.2.6.5. 조동사의 수식제어류와 분리표식의 축약어

조동사의 수식제어류와 분리표식에는 축약형이 존재한다.

elx

elxif

elxify

fau

faulx

faulxif

faulxify

faus

fausxe

fausxif

fausxify

fea

fealx

fealxif

fealxify

feas

feasxe

feasxif

feasxify

fiie

fiielx

fiielxif

fiielxify

fiies

fiiesxe

fiiesxif

fiiesxify

feu

feulx

feulxif

feuxify

feus

feusxe

feusxif

feusxify

Cene no io miss tisod elxif edixu eso alarta faulx wioll jol ixfanterl.

"지금 우리들이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조직이 통일을 목표로 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사전 예문)


7. 전치사・후치사

7.1. 전치사・후치사의 개요

7.1.1. 전치사・후치사의 기본

리팔라인어에서는 전치사후치사 둘 모두가 있다. 둘을 묶어 전치사・후치사라고 부른다. (역주: 본문에서는 접치사(接置詞)라고 쓰나 한국어에는 없는 분류이므로 풀어 씀) 전치사・후치사는 명사구 등의 앞에 와, 이에 특정하는 의미를 부여하여 명사나 동사를 수식하는 소절을 이룬다.

...... Miss'd la tonir tast niv miss xale lartastanss.

"……우리들의 신은 당신과 같은 인간을 배신하지 않아" (이세입문#54)

......pa valkarsa eufon y dyrur da fausteu la aldas movenf fal pesta

"……하지만, 그 때 알다스는 발카자의 열매를 따고 있었다" (LAR#16)

전치사・후치사는 형용사나 부사와 같은 방법으로 -j 을 어미에 붙임으로써 전치사・후치사를 반전시킬 수 있다.

Als sierosta's nea l'amol dzosnir falj, …...

"풀들이 지금처럼 풀밭에 있기에……" (Skyl.2:3 1:2)

Mag, cene miss itepeveal cecioj elx lex deixmelines lanerme ad viojss.

"그렇기에 우리는 단순히 머리를 염색한 라네메 사람들과 동포를 구분할 수 있다" (eldjx#8)

구어체와 문어체에서는 사용하는 방법이 다르며, 구어체에서는 기본적으로 자유롭긴 하지만 동사의 앞에는 후치사를 놓으며 동사의 뒤에는 전치사를 사용하지만, 문어체에서는 전부 후치사를 사용한다.

구어체

Mi mol el jurmil faxinisti'avola's fal fqa.

"나는 신호가 파랗게 될 때 까지 신호가 있는 곳에 있었다." (사전 예문)

문어체

Mi’s faxinisti’avola’st jurmil elj fqa io mol. 

"나는 신호가 파랗게 될 때 까지 신호가 있는 곳에 있었다." (사전 예문)


7.2. 주요 전치사

본 장에서는 주요한 전치사를 해설한다.

7.2.1. fal

전치사 fal 은 장소, 시간, 방법 등을 넓게 나타낸다.

Lineparine veles lkurfo fal fqa.

"여기서는 리팔라인어를 할 수 있다." (초심자)

Deliu mi melfert lael fal fontles ly.

"일단 맨 처음 찾아볼 것은 지도일 테지" (eldjx#7)

7.2.2. filx

전치사 filx 는 결격을 의미한다.

Lineparine’d la votyn’d liumo veles jato filx fhasfa.

"리팔라인어의 이차적 사용은 누구든 관계 없이 허용된다." (초심자)

Jol cene fqa io co veles sleo filx kinium.

"여기 신분증 없이 진찰 가능한 곳이 있어" (이세입문#179)

7.2.3. fon

전치사 fon은 소속, 물건의 성질, 명사의 부사화 등을 나타낸다.

Fqa es panqa fon rijust.

"이것은 돼지의 일종이다" (초심자)

Harmy unde fon ales io gir'i mi kjilf ti?

"알레스의 치세에 왜 내가 이런 짓을 해버린 것일까?"" (Skyl.4:22 4:1)


7.2.4. fua

전치사 fua 는 이익이나 이유를 나타낸다. 고전 리팔라인어에서는 후치사였기 때문에, 후치사로써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Edixa mi klie fua stiestudriso.

"나는 강해지기 위해 왔다" (초심자)

Liaoll deliu kynte mol nasteolen larta fua als iulo.

"지도자 되는 자로써 모든 일에 만전을 기하지 않으면 안된다." (eldjx#1)

7.2.5. melet, mele, mel

전치사 melet, mele, mel 은 가까이 있는 것을 나타낸다.

Agesquiko'tjeu jan vietist ci's melet mian.

"농담을 섞어 소녀 옆의 그녀가 대답하려 하고 있었다." (Skyl.4:28 3:1)

Krantjlvil mol mele fi’anxa.

"교회의 근처에 도서관이 있다." (초심자)

Mel la na's la lex da leus co jur la harmie?

"현상의 옆에 있는 그것으로 당신을 무엇을 바꿀 수 있나요?" (Skyl.4:31 1:2)

7.2.6. mels

전치사 mels 는 관계가 있는 것을 나타내며, "~에 관한" 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Harmie ci lirf mels lurli'a'd knloanerl?

"그녀는 루리아 축제 음식 중에 무엇을 좋아할까" (이세입문#185)

Fontalobusen larta es rotist mels fqiu phupurca…...

"눈 앞에 있는 인간이 이 의미를 알 수 없는 상황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eldjx#19)


7.2.7. ny

전치사 ny 는 명사의 앞에 와 반의어를 나타낸다.

Fi co jel la ny luxul, mi nacees pa

"혹시 마음에 들지 않았다면 죄송합니다. 하지만……" (이세입문#177)

Co ny lirf niv felx deliu co is tvasnker lipalaone.

"싫지만 않다면, 리팔라오네 교도가 되는 것이 좋을 것 같아" (이세입문#180)

7.2.8. xale

전치사 xale 는 명사의 뒤에 와 "~와 같은", 동사의 뒤에 와 "~와 같이" 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 Mi en diepojasti zu es dotyr larta’s xale lanerme.

"……나는 라네메인 같은 사람들이 장사를 하는 그 가게에 들어갔다" (eldjx#1)

Ers niv kandyravo xale ciantio stokyd?

"토마토를 짓뭉개는 것같이 심한 꼴을 당하는게 아니고?" (이세입문#181)

xale는 후치사로써 사용된다.

La lex las xale iulo voles mag fusafa’st jisesno’s corlnon mol.

"그런 일이 있었으니 마음이 부서지는 것이 당연하겠지" (eldjx#1)

La lex xale moliupi'a mal yuesleone'ct molo es le vynut.

"이런 취급이라니, 유에슬레오네에 있는 것이 나았어요" (이세입문#205)

이러한 전치사로써도 후치사로써도 사용되는 전치사・후치사를 NAAN이라고 부른다。


7.2.9. eska, eski

전치사 eska, eski 는 안 또는 바깥에의 방향성을 나타낸다. eska는 "~의 안에, 안으로", eski는 "~의 밖에, 밖으로"를 나타낸다.

Snidiafa fudiur eska krantjlvil.

"스니댜파는 도서관 안으로 들어갔다" (사전 예문)

Klormainsestan faut la lex xelon en eska torparr.

"크로마 생은 그것을 보고 서점의 안으로 들어갔다." (eldjx#17)

Lecu miss alvaikon eski fqa.

"일단, 여기 밖으로 나가자." (eldjx#10)

Fi fqa ler co eski tydiest, elx wioll co niejod.

"만약 여기에서 네가 나간다면, 살아남을 수 있겠지" (이세입문#192)

7.2.10. el

전치사 el 은 도착점이나 대상을 나타낸다. "~에, ~까지, ~에 대해" 등으로 번역할 수 있다.

…...snusnij el snutokastan plax lu.

"……방으로 돌아가 주세요" (이세입문#190)

Miss axergon cuturl lavol fai desel el retla

"도보로 나와, 레틀라까지 탈출한다" (이세입문#16)

문어나 시어에서는 후치사로써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pa marlss lex niliej jurlo fai yeu da jostol si el jol

"그러나 마을 사람들이 두려워한 것 때문에 그에게 전하려 하여" (LAR#17)


7.2.11. fasta, pesta

전치사 fasta, pesta 는 물건과 시간에 대해 사용되나, 각각 의미가 반대로 되어있다.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Fasta

물건

~의 앞에, ~의 전방에 있다

시간

~한 다음에, ~한 이후에

Pesta

물건

~의 뒤에, ~의 후방에 있다

시간

~의 앞에, ~하기 전에

co nun mels lineparine fasta misse'd kyrdentixti.

"우리들의 병원 앞에서 리팔라인어에 대해 질문하지 않았나" (이세입문#182)

Dea klie stedelafa’d klantez dera’d liestu’s fasta la lexil pa…...

"그 후 스테델라파의 위대한 사상의 시대가 오지만……" (eldjx#20)

Mi m'es melir xici, mol pesta co.

"나, 메리씨. 지금 당신의 뒤에 있어" (사전 예문)

Xarzni'arsti, selene mi velbarle pesta la lex.

"샤츠니아 씨, 그 전에 벨바레가 하고 싶은데요" (이세입문#177)

시어 등에서는 fast, pest 라는 단축형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Snyror mianastan ta xal mirlia pest berxa.

"아름다운 소녀는 베샤 뒤에서 무언가를 기다리고 있는 것처럼 서 있었다."

(Skyl.4:28 1:2)

Fieu niv da josnyn plelajnef la lart's fast fqa,......

"만약, 자네 앞에 적당한 자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Skyl.4:33 3:3)


7.3. 주요 후치사

본 장에서는 주요한 후치사를 해설한다.

7.3.1. leus

후치사 leus 는 도구격을 나타내며, "~을 사용하여"와 같이 번역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구나 방법을 표현하나, 원인을 표현하지는 않는다.

Cene fqa leus miss icve fhasfa?

"이걸 써서 뭔가 받을 수 있을까?" (이세입문#187)

Mel la na's la lex da leus co jur la harmie?

"현상의 옆에 있던 그것으로 당신은 무엇을 바꿀 수 있습니까?" (Skyl.4:31 1:2)

7.3.2. at

후치사 at 는 병렬이나 부가의 의미를 부여하는 후치사이다. 다른 전치사・후치사나 격과 더불어 사용된다.

Si qune niv si'd lexissnen mag tvacferlk at melsj si qune tesnoken ferlk lap.

"그는 생일을 모르기에, 제사명칭은 이름뿐입니다" (이세입문#178)

Cun, fi'anxa'st celdino at es tonir'd birle.

"그게, 피안샤의 도움도 신의 은총인 것인걸" (이세입문#180)

7.3.3. cecio

후치사 cecio 는 사이에 있는 것을 나타내며, "~의 사이에", "~중에"와 같이 번역할 수 있다.

E celes euenelsteino cecio fi'anx.

"그녀는 피안샤와 집에 다니게 했던 것이다. (역주: 정확하지 않음)" (Skyl.4:3 2:2)

Mag, cene miss itepeveal cecioj elx lex deixmelines lanerme ad viojss.

"그러니까, 우리들은 단순히 머리를 염색한 것 뿐인 라네메인과 동포를 구별할 수 있다" (eldjx#8)


7.3.4. io

후치사 io 는 장소, 시간, 방법 등을 넓게 나타낸다. 전치사 fal 에 대응된다.

Fqa io deluses morliulel fua kertni'ar?

"여기는 케트니아의 치료법 따위가 필요한가?" (이세입문#133)

Snutokastan io pan'd vefisait annia mol.

"그 방에는 한 베피사이트 남자가 있었다." (Skyl.4:3 6:1)

7.3.5. ler

후치사 ler 는 탈격이나 방법, 원인을 나타낸다. "~로부터", "에 의해", "~을 사용하여" 등으로 번역된다.

Zu, naa'ra fon hata ler ci klie.

"즉, 그녀가 하타 왕국에서 왔다는 건가" (이세입문#139)

Cene tvacferlke'd tesnoken aloajerlerm ler mi firlex ci'd ferlk.

"제사명의 이름으로부터 그녀의 이름을 알 수 있어" (이세입문#179)

7.3.6. cix

후치사 cix 는 "~로써", "~에 해당하는" 등으로 번역할 수 있다.

Xol’it kyrferger cix mi snesva mal xol ises?

"혁명의 선도자인 내가 없어서야, 혁명이 성공할 것인가?" (eldjx#6)

Vefistess la arulf foneu niss da cix is.

"베피사이트들은 그들의 아울프가 되어 있었다." (Skyl.4:37 3:3)


7.3.7. lap

후치사 lap 은 한정을 표현하며, "~만이", "~밖에" 등으로 번역할 수 있다.

Pa, mi lap niejod.

"하지만, 나만은 살아남았다." (이세입문#184)

Si lkurf elx deliu lersseo cosse'st lap ai'r'd lkurftless'it.

"그는 우리들 끼리 아일어를 배우지 않으면 안된다고 말했다." (이세입문#205)

7.3.8. lar

후치사 lar は目標期間を表し, "~まで"と訳される。

Inelnesil lar lersse deliu.

"시험기간까지 공부하지 않으면 안된다." (초심자)

Mili lkurfil lar plax.

"말할 때까지 기다려 주세요" (사전 예문)

7.3.9. las

후치사 las 는 "~라니" 등으로 번역되며, 경시(軽視)되는 것을 표현한다.

La lex las letix niv kante dornerja?

"그런 것에 의미 따위 없지 않을까?" (eldjx#19)

Pa ni xel las xale plenerfe larta niv.

"하지만, 그의 사람은 그렇게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Skyl.1:5 2:3)


7.3.10. it

후치사 it 는 영향이나 의거하는 것을 나타낸다.

Xol it kantio corlain veles furnkieo pa, la lex is niv men?

"혁명에 의해 교육도 변했을 것이다, 그렇지 않나?" (eldjx#6)

Edioll selun es xelken lineparine it.

"아이들은 리팔라인어의 영향에 의해 xelken이 되었다." (사전 예문)

7.3.11. lovik

후치사 lovik 는 "~정도의"를 나타낸다.

Mi letix 300’d ledz lovik gelx jol cene mi dosyt oniex las lyme.

"300 렛즈 정도만 있다면 빵 정도는 먹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eldjx#1)

Fqa lovik tierij veles niv tvarlo.

"이 근처의 차는 도둑맞지 않았다." (초심자)


8. 접속사

8.1. 접속사의 개요

8.1.1. 접속사의 기본

접속사는 문이나 구를 이음으로써 관계가 있음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 접속사는 명사구 등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문 접속사는 문을 연결한다.

Cene si lkurf lineparine ad yrgokk.

"그는 리팔라인어와 위고크어를 할 수 있다." (초심자)

…...mal fqa'd la larfa's da mol seldia fuaj…...

"……이는 정의를 위해서……" (LAR#3)

8.1.2. 주요 구 접속사

8.1.2.1. ad, adit, malt

접속사 ad, adit, malt 는 병렬을 나타낸다. 2개의 명사구에는 ad를 사용하며, 3개 이상을 병렬하는 경우는 adit을 사용하며, 2번째 이후에는 쉼표를 사용한다. adit은 그 외의 것을 포함하는 것을 명시하는 경우도 있다. 그 외의 것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명시하고 싶은 경우나 계사의 보어를 병립하는 경우에는 malt를 사용한다.

Jazugasakisti, co ad ci miscaon klie fqa'd lersse?

"야츠카자키 군, 너와 그녀는 같이 이 반에 왔니?" (이세입문#130)

Firlex, pa miss letix niv kanteluesco adit et.

"그렇군, 하지만 교과서 같은 것은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이세입문#204)

Miss es iccoer malt relod, vioj.

"우리들은 국민이며, 국가이며, 동포이다" (초심자)

이것들은 단어들 사이에 연속해서 올 수 있지만, 표현이 세련돼보이지 않는 인상을 줄 수 있다.


8.1.2.2. ol. maol, o, olt

접속사 ol, maol, o, olt 는 어떤 것들의 나열 중에 하나를 고르는 것을 나타낸다. 엄밀하게는 ol, maol, o 는"A인가 B인가, 어느 중 하나"를 나타내며, olt는 "A인가 B인가, 또는 어느 쪽이라도"라는 의미를 나타내지만, 구어적으로는 엄밀하게 구분하지 않는다. ol은 구어・문어 둘 다 사용 가능하나, maol은 문어에서, o는 구어에서 사용된다.

Korxli'a es ny eno ete'd icco'l fai elmo ol fhasfa.

"난민은 다른 나라에 전쟁 등에 나가야 한다." (이세입문#194)

mag fusaf mol fal fqa cix mi o co dur da.

"이를 위해 마음은 이곳으로서 나나 당신에게 있는 것이다." (Skyl.2:4 6:3)

Jol mi felifel marvel dilfarst olt staxdirco.

"가넷이나 사파이어, 나는 좋아하는 것을 주려고 생각한다." (초심자)

marlasta malt fonticco'd en'iarver cix isnaxte si's.

"시나 구의 직원으로써 그는 취임한다" (초심자)

8.1.2.3. danif, danifaj

접속사 danif, danifaj 는 각각 "~가 아니거나 ~이 아닌, 또는 어느 쪽도 아닌", "~도 ~도 아닌"을 의미한다. (역주: 각각 neither 또는 nor)

Mi firlex niv za'kkan danif stelains.

"운석도, 지진도, 또는 어느 쪽도 아닌지는 나는 모른다." (초심자)

mi es co'd celdiner danifaj fenxerger.

"나는 당신의 도우미도 급사도 아니다." (초심자)

통상적으로 접속사와 niv를 묶은 표현(예를 들면, 위의 예문에선 «Mi es niv faller co’d celdiner ad fenxerger»)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이러한 접속사를 사용하는 경우는 강한 부정을 나타낸다.


8.1.3. 주요 문 접속사

문 접속사는 문을 사이에 두거나 문두에 놓고 그 뒤에 쉼표를 찍을 수 있다.

8.1.3.1. mal

접속사 mal은 순접, 이유, 귀결 등을 넓게 나타낸다.

mal mi liax xel da velgan ple...

"……우리는 베르가나의 정도(正道)를 보았기에……" (LAR#4)

dejixeceen veýl'i kyrna mal aduarne.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여, 진전한다" (ISDE#5)

8.1.3.2. mag, cun

접속사 mag, cun 는 이유를 나타낸다. 이유절은 mag의 앞에 오고, cun에서는 뒤에 온다. 이 때문에, 각각 "이므로, 이기에", "왜냐하면" 등으로 번역할 수 있다.

Si celdin xalija decafeleme'tj mag is jatekhnef.

"그는 자기희생으로 샬리야를 구하려 했기에 혐의를 벗었어" (이세입문#61)

Cun, co es les yletta faller mi’d aziuk.

"내 작품 중에 가장 소중한 존재니까" (eldjx#19)

8.1.3.3. pa

접속사 pa 는 역접을 나타낸다.

...mal la lex stes liparxe pa pemecepe-lujot ad liparxe waxes.

"…페메세페・루요트는 리파셰로는 비슷하면서도 다른 문자체계이다." (KLP#1)

Mena xel co'd feg pa zelk xel co'd liepop.

"친구는 당신의 얼굴을 본다, 적은 다리를 본다" (초심자)


8.1.3.4. fi, fie

접속사 fi, fie 는 가정을 나타낸다. 전자는 fi A, B 로, 후자는 A fie B 로 사용되며 "만약 A라면 B"가 된다.

Fi co letix aziurg, klie fi'anxa.

"무슨 일이 있다면, 피안샤에 가 주세요" (이세입문#46)

Fi fqa ler co eski tydiest, elx wioll co niejod.

"만약 여기에서 네가 나간다면, 살아남을 수 있겠지" (이세입문#182)

Miss nat niecis niv fie set larta dat v'ret ka?

"우리가 지금 저항하지 않는다면, 여러 사람이 죽는다고요?" (Skyl.4:32 5:3)

8.1.3.5. menial

접속사 menial 은 "그렇지 않다면" 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일단 해야 할 것을 말한 다음, 그 단어의 뒤에 그것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의 귀결이 나온다.

Jeteson cuturl menial jisesn alsa's!

"당장 탈출하지 않으면 전부 죽어!" (사전 예문)

No io text melfekasta jisesnal mol mi's pa text niv menial kujite'c mi's tydiest.

"지금 고른다고 해도 어차피 사지에 있는 셈이지만 고르지 않는다면 지옥으로 갈 뿐이다."

(사전 예문)

8.1.3.6. lirs

접속사 lirs 는 "…다기 보다", "…랄까" 등의 의미를 나타낸다. 앞에 나온 문장이 그렇게 되면 안된다거나, 그렇게 되는 것이 미묘하다고 생각될 때 사용된다.

Lirs xij cenesti, deliu co lersse lineparine.

"어쨌든 센 형, 당신은 리팔라인어를 공부해야 할 것이다." (이세입문#37)

Lirs, nool io mi deluses acirlan...

"まず, 今の状況で私が必要としている情報は…" (eldjx#7)

8.1.4. 특별한 기능이 있는 접속사

8.1.4.1. i

접속사 i 는 절을 취하는 단어가 어디까지를 절로 받아들이는지를 명시하는 표식이다.

Insirznyk fiie ircalart i snenikestan io sninisten tolid xale mol.

"이 날의 교실은 일요일의 아침과 같이 조용했다" (구 문법서)

Edixa si celes veleso dijyki'st i knloanot mi'st.

"사과는 그에 의해 나에게 먹여졌다" (사전 예문)

8.1.4.2. 분리표식

분리표식(분리사)은 주어와 목적어를 앞뒤 어딘가에 취하는 접속사의 일종이다. 문어에서는 es 에만 사용할 수 있으며, 시어나 구어에서는 모든 동사에 사용 가능하다. 분리표식은 바로 앞 명사의 계열과 어순에 의해 단어의 형태가 달라진다. SO어순에서는 표식의 앞에 주어를 취하며, 뒤에 목적어를 취한다. OS어순에서는 이의 반대이다. 종속절에서는 -t가 붙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변격동사인 경우는 목적어 대신에 취하는 것이 여격단어나 보어로 바뀐다. 동일 어간의 동사에 일반동사와 변격동사의 용법이 둘 다 존재하는 경우일반동사의 용법이 우선된다.

(역주: 해설이 너무 애매해서 이해하기 어려우나, 'S es O' 를 'eso S fau O'와 같이 바꿀때 사용할 수 있는 것 같다. 주격과 대격은 격생략이 가능하므로 격표지가 생략된 경우 조사를 생략한 한국어와 비슷하게 주어와 목적어를 구분하기 어려우므로 fau 등을 붙여서 어느 것이 주어와 목적어인지를 가리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보인다.)

SO어순

OS어순

붉은 계열

fau

faus

푸른 계열

fea

feas

검정 계열

feu

feus

무늬 계열

fiie

fiies

Mi firlex niv eso la lex fea flern.

"그녀의 취향은 몰라" (이세입문#136)

Xel. Si jat eso si fea ceg!

"이것 봐, 스파이라고 인정했잖아!" (이세입문#53)

8.1.5. 접속사의 축약

일부 접속사는 축약되어 단어나 어두에 교착되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의 경우 구어에서 동사의 어두가 모음일 때 발생하나, 반드시 단어의 어두가 모음일 필요는 없다.

원형

생략형

예 (aprart에 붙는 경우)

cun

c’-

c’aprart

fie

f’-

f’aprart

mag

g’-

g’aprart

mal

m’-

m’aprart

pa

p’-

p’aprart

zu

z’-

z’aprart

Krantielyren aziuk'it luso p'jel co la agvir'c, la hiurn es niv vynut lys jol.

"문학작품을 쓰기에는 빠르다고 생각하지만, 심심한 건 좋지 않으니까" (이세입문#19)

Marlerss baxt m’emcolisves slvexvijavo,......

"시민들이 쾌활히 흥정을 하고……" (eldjx#20)

Ja, Edixa mi c'jel si la riesnieste'c,......

"응, 가난해 보였어, 그게……" (이세입문#213)

F'ret mi vel ja fal no, elx mi fyrkja niv da.

"하지만 지금 제가 살해당한다면 보상도 할 수 없게 됩니다." (Skyl.4:31 2:2)

Miss g'es nefsietivaler, niejod fai velbarleo.

"우리들은 노숙자입니다. 베르발레에서 살고 있습니다." (이세입문#189)


9. 서법 품사・감탄사

9.1. 서법 품사의 개요

9.1.1. 서법 품사의 기본

서법 품사는 문에 붙어 감정이나 인격, 지위나 증거성 등을 나타낸다. 하위분류로써, 주로 문장 끝에 붙는 서법 동사와 동사의 앞뒤에 붙는 서법 부사가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서법 품사는 문장의 어디에 위치하더라도 좋으며, 감탄사와 같이 단독으로 등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서법 부사는 고어적인 요소가 되었다.

Firlex, mili plax ja.

"그렇군, 기다려줘" (이세입문#203)

Fenxis miss ydicel normtaver da.

"우리는 더 이상 학살자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ISDE#2)

9.1.2. 서법 동사

9.1.2.1 주요 서법 동사

9.1.2.1.1 ja, yn’y, y’n’y

서법 동사 ja, yn’y, y’n’y 는 가벼운 동의를 구하는 질문에 쓰인다. 간단히 어조를 친근하게 바꾸는데 쓰일 때도 있다. 또한, y’n’y 는 yn’y 의 다른 표기이다.

Cene co lkurf lineparine ja.

"너는 리팔라인어를 할 줄 아는구나" (초심자)

Cirla io tidist cel edioll yn’y do.

"나를 진심으로 화나게 했군" (사전 예문)

Fgir'd afeneljrfa es kebala y'n'y?

"저 자켓 멋있지" (사전 예문)


9.1.2.1.2 lu

서법 동사 lu 는 정중함이나 진지한 자세를 나타낸다.

Ci es liplain lu.

"그녀는 리팔라오네인이에요." (eldjx#8)

Plax shrlo tuan co'd kranteerle'd ladirrisil lu.

"부디 반납일을 잊지 말아주세요" (이세입문#41)

9.1.2.1.3 plax

서법 동사 plax 는명령과 동시에 정중한 부탁을 나타낸다.

Niv, plax lkurf mi cixj <hingvalir>?

"아니, 부탁인데 힝발리라고 불러줄래?" (이세입문#42)

Ar, Nace. Lkurf lineparine plax, cenesti.

"아, 미안. 리팔라인어로 말해줘, 센" (이세입문#50)

9.1.2.1.4 dea, da

서법 동사 dea, da 는 강력한 의견, 강조를 나타낸다. 전자는 구어에서 사용되며, 후자는 시어에서 사용된다. 시어에서 사용되는 da는 강조로서의 의미가 거의 사라져가고 있으며, 특히 문장 끝에 오는 da는어조를 가다듬기 위해 삽입된 경우가 많다.

Dea klie stedelafa’d klantez dera’d liestu’s fasta la lexil…...

"그 후에 스테델라파의 위대한 사상의 시대가 오지만……" (eldjx#20)

Ispienermedarneust shrlo da enomionas!

"국제공산주의활동이여, 연합하라!" (ISDE#1)


9.1.2.1.5 ly

서법 동사 ly 는 추론이나 전언을 의미한다.

Selene si lkurf cossa'tj fal finibaxli'd 12:00 ly.

"내일 12시에 대화가 있다고 한대" (이세입문#159)

…...celx selene pemetorles co'tj ly.

"……네 옆에 있고 싶기 때문이야" (이세입문#158)

9.1.2.1.6 lys

서법 동사 lys 는 동의를 구하거나 확인을 나타낸다.

Xel la lex leveu yletta na'i da lys ti.

(역주: 이 부분 예문이 잘못 됨) (Skyl.4:31 1:2)

…...pa liparxe’it lex krante kranteerl mol laponj lys.

"……하지만, 아무래도 리파셰가 적힌 책은 이것 뿐인 듯 하네" (eldjx#17)

9.1.2.1.7 cis

서법 동사 cis 는 피해나 폐를 나타낸다.

…...mal firlex niv cis.

"……알 방법도 없지만" (eldjx#)

fai d'ens, la vaklen zu ret vioj's liacyeu cis da,

"시름과 고통에 죽어간 동포의 곡소리에 따라" (Skyl.4:33 4:1)

9.1.2.1.8 yrt, atif

서법 동사 yrt, atif 는 각각 적당・부적당을 의미한다.

…...gelx deliu siss es farnen mels elx plelajnef moliupi'ao yrt.

"……그러니, 그에 대응되는 결과를 각오해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eldjx#3)

Cierjustelerss vejt tisod la l' da fal atif.

"모여있던 사람들은 강하게 그것을 생각했다" (Skyl.4:32 3:3)

9.1.2.1.9 nillast, villast, qillast

서법 동사 nillast, villast, qillast 는 각각 다른 의미가 없다, 수사적 표현이 포함되었다, 농담으로 문맥을 무시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Zu, si'd kante es ci'd selunstan nillast lyeu.

"즉, 그는 그녀의 아들이라고 한다." (Skyl.4:36 4:2)

hartkarfel sietivel ad tvarcarel villast.

"살아가는 방법이나 신앙의 방법에 대해 배운 것을 전했다." (Skyl.1:3 5:2)

E? Jeska es annia qillast?

"어? 예스카는 남자잖아" (초심자)

9.1.2.1.10 alte

서법 동사 alte 는 냉소나 조소하는 태도를 나타낸다.

Lax velgana'd blurja p'zirl mieuss da dur alte,......

"벨가나의 목소리가 우리에게 가까워지는데……" (Skyl.4:26 2:2)

La lex niecis sopit da alte edixa.

"그것은 법을 어기고 있었기 때문이다" (Skyl.4:21 2:1)

9.1.2.1.11 blixe

서법 동사 blixe 는 농담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Fgir es desvele blixe.

"전혀 모르겠어" (사전 예문)


Ja.  Lydiest celde tea.  Mi es qaka'd larta n blixe.

"그래, lydiest가 아니야. 콰크인이 됐어" (Cierjusteliumjt)

9.1.2.1.12. alterblixe, firalterblixe

서법 동사 alterblixe, firalterblixe 는 각각 반반어법, 추측반반어법을 나타낸다. 반반어법이라 함은 "~하겠지만(아니 분명 그렇겠지)"와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추측반반어법의 경우 "분명 그럴것이다"가 아니라, "그럴지도 모른다" 정도의 의미가 있다.

Alterblixe no io miss lecu jisesn da ja.

"지금 우리들은 전진하여 목숨을 내놓을 것이다" (ISDE#3)

Lanerme letoka'st nosturjeso las es la demoale alterblixe?

"라네메의 전철이 지연되는 건 항상 그랬던 일이지" (사전 예문)

Firalterblixe is niv farkzirvhi.

"컨디션이라도 안 좋아진 건 아닐까" (사전 예문)

Fqiu chajo’d fey io veles pusnisto tierij’s firalterblixe?

"이 앞은 통행금지겠지" (사전 예문)

9.1.2.1.13. alteme

서법 동사 alteme 는 자조를 나타낸다.

Edixa mi agesquik alteme ja!

"나는 바보같은 말을 해버렸어!" (사전 예문)

Illemavain is fai movierstan alteme.

"이 멍청이 때문에 실패했다." (사전 예문)


9.1.2.2. 성별과 관련된 서법 동사

일본어의 역할어와 비슷하게 리팔라인어에서는 성별을 나타내는 서법동사가 존재한다.

9.1.2.2.1. do

서법 동사 do 는 강한 남성, 마초적인 남성이 사용한다.

Lech zelon lkurf ny la lex kele da ja do.

"레치는 계속하여 이렇게 말했다네" (Skyl.1:17 1:1)

Knloanerl nat mol dea do! Cuturl!

"아직 식량이 남아있잖아! 내놔!" (이세입문#80)

지방이나 출신에 따라 서법 동사 da 와 혼동되는 경우가 있으며, 여성이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다음 예문은 라네메계 리팔라오네인인 20세기 말기에 태어난 소녀와 프레드샤계 리팔라오네인인 20세기 중반에 태어난 여성의 발화 중 하나이다.

Salarua, Xalijasti! Edixa mi klie dea do!

"안녕, 샬리아, 도착했어!" (이세입문#3)

Ej! Miss klie dea do, leijuafasti!

"어이, 도착했어 레이유아파 씨!" (이세입문#62)

9.1.2.2.2. fo, fyn

서법 동사 fo, fyn 는 침착한 남성이 주로 사용한다. 보이시한 여성이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어느 단어를 사용해도 의미는 변하지 않는다.

Mi jel la koni’endeili’a fo.

"나는 잘 모르겠어" (사전 예문)

Liaxe miss qune elx deliu eso harmie’i fyn.

"우리들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고 있어" (사전 예문)


9.1.2.2.3. my

서법 동사 my 는 여성이 주로 사용한다. 지역이나 출신에 따라서는 중년 여성은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으나, 어원인 고전 리팔라인어 myu가 주로 젊은 층에서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유에슬레오네 시대에서는 일반적이지 않으며, 사용하는 경우 애교부리는 것이라고 여겨진다.

Ers yuesleone ler l'ode dalarko my.

"유에슬레오네부터 떨어트릴거야~ ☆형이다" (사전 예문)

Fur lkurf larfi'l my.

"바람이 마음을 간지럽히는거야" (가사 번역)

9.1.2.2.4. ti

서법 동사 ti 는 여성이 주로 사용한다. my - ti는 do - fo, fyn 과 비하여, 정중함이나 침착한 뉘앙스를 가진다.

Pankalanerfe larta zirkan miss at pankalanerfeel'i lius deliu ti.

"비상식적인 사람을 상대해야 하니 이쪽도 어느 정도는 비상수단을 취해야죠"

(사전 예문)

Ar, cenesti klie co's fal fqa ti.

"아, 센, 여기 왔군요" (이세입문#5)

9.1.2.2.5. fa

서법 동사 fa 는 여성이 주로 사용한다. 어느 정도 격식없는 대화에서 사용된다.

Harmie co tisod fa?

"뭘 생각하고 있니?" (사전 예문)

Edixa si veles amaleso fa.

"그는 붙잡혔어" (사전 예문)


9.1.2.2.6. mirs

서법 동사 mirs 는 여성이 주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라고 생각된다.

Harmie co tisod mirs?

"무엇을 생각하나요?" (사전 예문)

Edixa si veles amaleso mirs.

"그는 붙잡혔어요" (사전 예문)

9.1.2.2.7. ex

서법 동사 ex 는 중성적인 서법 품사이다. 시어의 경우 음수의 조정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ci'st ex xelerl'it da penil io la l' mol nie.

"그녀가 일어났을 때도 비가 왔었다" (Skyl.4:25 1:2)

Vyrle es set lolerce ja mile ex nil.

"겨울은 비할 수 없을 정도로 너무 긴 것 같다." (Skyl.2:1 1:1)

9.1.2.3. 의문 서법 동사

의문 서법 동사는 여러 종류가 존재하며 성별 또는 자잘한 뉘앙스 차이로 구분할 수 있지만, 같은 의미를 가진 것이 여럿 존재하기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뉘앙스

(기초 형태)

중성

남성

여성

일반적 의문

(성별서법+-r-+n+-eu)

xerne

(exerneu)

dorne

(dorneu)

tirne

(tirneu)

n

n, eun, neu, yrn

ng

ng, eung, yrng

men

men, eumen, meneu

추정 의문

jarn, jarng, jarngeu


9.2. 감탄사의 개요

9.2.1. 감탄사의 기본

본 장에서는 리팔라인어의 감탄사에 대해 설명한다. 감탄사는 감정이나 모종의 예의를 나타낸다. 감탄사는 주로 문장 맨 앞이나 끝에 놓는다.

9.2.2. 감탄사

9.2.2.1 주요 감탄사

9.2.2.1.1. 인사

안녕하세요

salarua, salar

수고하셨어요

afnartarlm

축하해요

ceatvirna

죄송합니다만

cespal

잘 가세요

erfciknkra

어서오세요

xux, klie, keples

감사합니다 / 실례합니다

xace / nace

9.2.2.1.2. 맞장구相槌

알겠다

carli

어쩔 수 없다

celespacon

예 / 아니오

ja, corsh / niv

정말로, 그렇구나

cirla

물론, 말 할 필요도 없이

corln

괜찮다

elajarnerfen, elaja

알겠다

firlex

정말이다

jexi’ert

틀림없이, 맡겨주세요

korlixtel

그래서, 그 다음은?

meseceda

잠시 기다려주십시오

nal, nallot

알겠나, 알아들었나

pefes

9.2.2.1.3. 반응

엇, 뭣, 우와

chbiar

dhar

안 되겠다, 미안

dhave

어, 어째서, 왜

e

어이, 야

ej

잠깐, 저기

ekce

헤에, 우와아

ery

네에, 예에

fer

후우, 하아

fhur

헛, 엣, 뭣

hett

으음, 그러니까

jopp

어이

jei

뭐, 으음, 그러니까

merc

뭐, 음

mer

오, 오오

or

큿, 크헉

hgg

에잇, 헛

hof

으음, 으으음

hn, hnh, hnn

음음, 냠냠

mm

됐다, 그렇구나

luarta

가자, 좋아

luxul

그렇지, 그렇군

lys

9.2.2.1.4. 매도

저리가, 사라져, 꺼져

iska

재수없어! 그만해!

martnefi’e

새끼, 자식이

xetten


10. 문체

10.1. 문체의 개요

10.1.1. 문체의 기본

문체는 리팔라인어 문법에서 허용되는 문법이나 어법의 선택기준이 되는 문장양식의 규범이다. 문체는 제1계층 문체제2계층 문체로 구분할 수 있다.

10.1.1.1. 제1계층 문체

제1계층 문체는 표준적인 문체로써, 제2계층 문체의 기반이 된다.

구어체

문어체

신문체

발음

1.2.3. 을 참고

문체공통 예외발음

까지 적용

고어의 발음규칙

따름

타동사 규범어순

SVO

SOV

SVO

수식어순

NA/AN

AN

격 접미사

생략가능

생략불가

생략

8.1.5. 를 참조

전치사와 후치사

동사의 앞에는 후치사

동사에 뒤에는 전치사

모두 후치사로써 이용

전치사도 후치사도 그 품사를 따라 이용

조동사의 서법

문장 앞, 끝, 동사 앞뒤

문장 앞

명령표현

동사를 문장 앞에 놓음

조동사 shrlo를 사용

조동사 shrlo를 사용

관계절의 zu

사용

사용하지 않음

관계절의 어순

SOV(lex), SVO(zu)

SOV

SOV

종속절의 -t

사용

사용하지 않음

수동태/사동태

Veles/Celes V-o

V vel/cel

기타

구어 단어의 이용

문어단어를 이용

어법 이외의 -en,

-on 사용 불가

문어단어를 이용

대명사 zi, ni, als의 사용 금지

어법 이외의 -on 사용 불가

10.1.1.1.1. 구어

역주: 한국어와 일대일 대응이 불가하며 원문에서도 일본어는 문체에 따라 변하지 않았다. 셋 사이의 차이는 문법 표지를 얼마나 생략하는가 아니면 어순을 어떻게 배열하느냐의 차이에 있다.

구어는 유에슬레오네 시대까지 발달안 구어 표현을 규범으로 삼은 것이다. 자유도가 높고 아래에 있는 어느 하나의 문체에 속하지 않는 문체는 대부분 구어체이다. 구어라고는 하지만 유에슬레오내 이후의 어문일치운동에 의해 이 문체로 글을 쓰는 일도 자주 있다.

Nace cenesti. Pa, cene niv mi xelvin mol fal co.

"미안 센. 하지만 더는 네 옆에 있을 수 없어." (이세입문#55)

Jol ci lkurf fhasfa mal elx liaxa pusnist la lex.

"그녀는 무언가 말하려 했으나, 멈췄다." (eldjx#11)

10.1.1.1.2. 문어

문어는 중기 리팔라인어를 규범으로 삼아 발달한 문어표현을 기준으로 잠은 것이며, 구어에 비해 자유도가 낮다. 유에슬레오네 이후의 어문일치운동에 의해 낡고 오래된 문체라고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많다.

Nace cenesti, pa cene niv mi’s co io xelvin mol.

"미안해 센. 하지만 네 옆에 더 이상 있을 수 없어." (이세입문#55)

Jol ci’s fhasfa’i lkurf mal eo lex liaxa la lex’i pusnist.

"그녀는 무엇인가를 말하려 하였으나, 그만두었다." (eldjx#11)

10.1.1.1.3. 신문어

신문어는 고전 리팔라인어를 규범으로 삼아 xelken이 제창한 전통문어이다.

Nace cenesti, pa cene niv mi’s xelvin mol fal co.

"미안해 센. 하지만 네 옆에 더 이상 있을 수 없어." (이세입문#55)

Jol ci’s lkurf fhasfa’i mal eo lex liaxa pusnist la lex’i.

"그녀는 무엇인가를 말하려 하였으나, 그만두었다." (eldjx#11)

10.1.1.2. 제2계층 문체

제2계층 문체는 혼재가능문체라고도 불리는, 문체의 제2계층이며 제1계층 문체와 섞어 쓸 수 있는 문체이다. 특정한 단어를 사용하며, 어느 정도 어법과 어순이 정해져 잇으나, 제1계층 문체에 비해 비교적 애매하게 정의되어 있다.

10.1.1.2.1. 경어체

경어체는 중기 리팔라인어의 경어규범에 따라 성립된 정중한 대우표현의 문체이다. 경어체는 라네메어족의 영향을 받아 성립되어 독자적으로 발달하였다. 웃어른을 대하는 표현이긴 하지만 딱딱한 인상을 주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Cespal, sniertarleesal mol harmue lu?

"尋ねますが, 郵便局はどこですか?" (사전 예문)

Selene mi pelus nunerl melx zi tilien xei lu?

"恐れ入りますが, チェックインはお済みでしょうか?" (사전 예문)

Mi nepyvon hartkarfel nioj!

"ご報告します" (사전 예문)

Tlarkija listerditlerding'i, plax.

"シートベルトをお締めください" (사전 예문)

Laxtin cix cukalmrei luartaves haltxergo iuesleone’it.

"スカルムレイ陛下は유에슬레오네を視察される" (사전 예문)


10.1.1.2.2. 시어체

詩語体は16世紀の詩人エスポーノ・ドーハのスキュリオーティエ叙事詩訳を起源とする文体であり, 単語の一部が変化していたり, 表現が簡略化されていたりする。日常的に使われるわけでもなく, 詩やそもそもスキュリオーティエ叙事詩のようなものに書かれているものなので, 口語に混ぜて使うと衒っているような, 格好付けているような印象を与えてしまう。また, 口語や文語と同語形で違う意味になっている場合もあるので誤解される可能性も高いのでリパライン語話者(特に本土人やデュイン人)は会話には混ぜてこない。小説や歌にはよく出てくるが, それは衒っているなどという評価を受ける事はない。ただ必要なかった表現だと思われれば格好付けているといわれることもある。

Mylonacergeno'i akrulkurf ny l' l' edixa.

"傲慢であることが次のように言われるようになった" (Skyl.4:20 6:1)

Fal fermija's ank cecil flan y, niss flesve

"サフィアが強く悲劇的に攻めた時, 彼らは震え上がった" (Skyl.4:34 1:2)

10.1.1.2.3. 인자리독체

인자리독체 또는 인리체는 옛적의 라네메언어의 인제자모로 쓰여진 문장문체의 한 종류이다. 왕조 시대의 공식적인 문장은 인제자모로 쓰여졌기 때문에, 라네메 지역에 남은 리팔라오네 부족들도 이를 본떠 인제자모로 쓰인 라네메 언어의 문장을 번역하고, 인제자모와 후기 파르파벳을 사용하여 표현했다. 고대 리팔라인어나 베피스어를 통해 직역과 같은 형식으로 번역된 문장을 거쳐, 현대까지 문어의 일종으로서 표준문어와 병존하고 있다. 현재는 라네메 왕조를 연상시키는 고풍스러운 문장으로 여겨지며, 문어이면서 독특한 분위기를 가진 문체가 되었다.

3te surul: anfarftyres ietostatef ad toxatef.

"その3 液体成分と固体成分を濾し分ける" (リウスニータの作り方)

Fqiu liest fe pusnist jyruso.

"この時, 混ぜるのを止めてはいけない" (リウスニータの作り方)

Li'usnirta'it esel

"リウスニータの作り方" (リウスニータの作り方)


11. 조어

11.1. 조어의 개요

11.1.1. 조어의 기본

리팔라인어는 조어 규칙에 따라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조어규칙으로는 어근을 특정할 수 있는 어근 가역적 조어와 어근을 특정할 수 없이 새로운 어근을 만들어내는어근 불가역적 조어가 있다. 어느 조어규칙이라도 품사는 어근과 같다고는 할 수 없다

11.1.1.1. 어근 가역적 조어

어근을 특정할 수 있는 조어를 어근 가역적 조어라고 부른다. 기본적으로 라팔라인어에서는 어근에 접사를 부여하는 것으로 실현된다. 아래에 주요 접사를 정리하였다.

xel

"보다" (동사어근)

nefxeleris

"눈을 속이다" (동사파생어)

ietost

[ietost]

"물" (명사어근)

ietostrenalenergreufedirrgalanascherl

[ietost-r-en-al-en-e-rg-r-eu-fedir-rg-al-a-nasch-erl]

"샘물의 수질" (명사파생어)

11.1.1.1.1. 동사연체형 파생어미

하는 자

-er

되는 자(내용, 대상)

-o

하는 것

-erl

할 때

-il

하는 곳

-al

하는 방법

-el

하는 도구

-yl

하는 상태

-ol

하는 이유

-ul

하는 기계

-axm


11.1.1.1.2. 동사계 동사파생어미

떨어지는 운동, ~되어 간다.

-lst

가까워지는 운동, ~되어 온다

-rlst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것, 가능

-syk

상태전이

-ain

일시적으로 상태전이되어 돌아옴

-ein

재시행, 다시 함

-esk

정보제공

-ja

11.1.1.1.3. 동사계 동사파생 보조어미

-effe

아래

-ins

-font

-bacx

보통

-bacorlx

11.1.1.1.4. 기타 접미사

도가 지나친

-ce

장애, 증후군

-adlis

병명

-kyt

염증

-zide

능력, 힘

-anfy

근원, 발생, 기원

-dir

~의 자식

span>

-elun

학교, 학원

-esnif

권리, 능력

-irfe

~사이의, 공유

-isi'a

물질, 집합체

-ium

학문 이름

-lyr

성질을 가진

-nasch

~가 없는

-nerfe

민족, 인종

-ni'ar

우롱, 경멸

-pe

~의 부착, 적응

-rfamo

정도, 종류, 근원

-snej

지배, 영향 아래

-unsar

움직임, 운동, 동작

-ust

언어 이름

-virel, -virle

~의 능력이 있는

-welanfy

~의 양산장, 양식장

-xeadra

~의 중간

-xia

~중에

-xy

11.1.1.1.5. 동사계 전치사

일반적으로

niuax-

일반적이지 않은, 이단의

vlas-

올바르게, 예상과 같이

nyxvarl-

실수하여, 오동작으로

nix-

~어로 번역한

akru-

좇아 ~하다

계속하여 ~하다

더하여 ~하다

ata-

초과하다

macc-

의도성

axel-

비의도성

vanel-

~어로 번역하다

akru-

떨어지다

lern-


11.1.1.1.6. 명사계 전치사

병적인, 이상한

epotai-

~장, ~책임자, 주된 ~

dzepar-

최초의, 시작

fass-

내 ~성이 있는, 안티~

fente-

~로 뒤덮인

ferka-

먼, 원시의

학교기관, 시설, 조직

ini-

그렇든 말든

행위관계의 이항대립을 총칭

nista-

극의, 최종의

pask-

~의 땅, ~장소,

polt-

~에 관계된, ~관계의, 별자리, 별

stal-, stel-

~파, ~파벌

ters-

~의 표면, 표층

xlea-

머리의, 선두의, 가장 최초의

diun-

(병적인) ~이상

epotai-

대의어, 역~, 대~, 반대측 ~

gen-

물, 수분, 액체

ieto-

~를 가진, ~임, ~가 존재함

kon-

쓰다, 그리다, 단어를 나열하다, 기술

kran-

이탈, 일탈

lern-

부정, 부재, 비존재

nef-

웰푸프를 사용하지 않은, 네트니아

nielf-

웰푸프를 사용한, 케트니아

welf-

극의, 최종의

pask-

앞의, 근본의, 바깥쪽의

sid-

서사시적인, 영웅적인, 위대한

xen-

11.1.1.2. 어근 불가역적 조어

어근을 특정할 수 없는 조어(즉, 어근을 새로 만들어내는 조어)를 어근 불가역적 조어라고 한다. 본 장의 어근 불가역적 조어는 이론적으로 확립된 것만을 기재한다.

11.1.1.2.1. 동사연체형 파생어미에 의해 파생된 명사의 어근화

동사연체형 파생어미에 의해 파생된 명사가 어근이 된 경우, 제1음절의 모음은 y가 된다.

kantier

"교사" (명사파생형)

kynte

"교사" (명사파생어근)

molo

"존재" (명사파생어)

mylon

"자랑, 명예" (명사파생어근)

11.1.1.2.2. 고전 리팔라인어의 어미가 a인 명사의 형용사형

고전 리팔라인어의 어미가 a인 멍사의 형용사형은 어미를 iu로 바꾸어 만든다.

fqa

"이것" (명사어근)

fqiu

"이것" (형용사파생어근)

fgir (<fkhpha.li)

"저것" (명사어근)

fgiu

"저것" (형용사파생어근)

11.1.1.2.3. 계승어・외래어의 변화규칙 등

어족의 계승어나 외래어의 변화 규칙 등은 아래 링크를 참조할 것

11.1.1.2.4. 일부 단어의 어원 해석
11.1.1.2.5. 조어방침에 대해

12. 명명규칙

12.1. 명명규칙의 개요

12.1.1. 명명규칙의 기본

본 장에서는 리파라인어 인명의 명명 규칙을 정리한다. 덧붙여 동물이나 물건, 개념 등의 기호와 같은 이름은 akrapt 이라는 다른 단어로 나타낸다. 리팔라인어 이름은 리팔라오네인의 전통적인 것을 aloajerlerm 라 부르며, 그 이외의 외부에서 유래된 이름을 리팔라인어화 한 것을 irmphark 라고 부른다. 이 3개를 합쳐 ferlk 라 한다. 기본적으로 리팔라인어 이름에는 남녀의 구별이 없다.

12.1.1.1. 부부・자식의 이름

리팔라인어의 이름은 국가의 제도나 관습에 따라 부부별성, 동성 어느 쪽이든 가능하지만 전통적으로는 가세가 강한 쪽이 부부동성의 기준으로 선택되는 경우가 많다. 유에슬레오네 혁명 이후의 유에슬레오네에서는 그 전까지 법제화되었던 베피스 혁명 이후의 리팔라오네 내셔널리즘적인 씨족감각에 근거한 동성제도가 폐지되었기 때문에 별성인 것도 드물지 않다. 자녀에게는 동성일 경우 그 성이 붙고, 별성의 경우 협의하여 합의된 성이 쓰인다.이때 쌍방의 성을 합하여 새로운 성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12.2. 이름의 구조와 종류

12.2.1. 기본형식

기본형식은 리팔라인 인명을 기준으로 파생된 여러 가지 형식의 기본이 된다. 세 종류의 형식이 존재하지만 각각 기본형식의 취급에 있어서는 특별한 차이가 없다.

12.2.1.1. 2형식

2형식은 A B의 두 단어의 형태로, 각각 A가 성이며 B가 이름이다. 이 이름을 표기할 때는 성과 이름의 사이에 .(larl)을 놓는 것이 관례이다.

Ales(성)

xalija(이름)

Ales.xalija

예외로써, 아이르인이나 벨피스인 등의 성과 이름은 반대로 배열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대체적으로 유나・리팔라오네인이 아닌 경우가 많다.

Felirca(이름)

atam(성)

Felirca.atam


12.2.1.2. 3형식

3형식은 A B C의 세 단어로 된 형식으로, 각각 기본적으로 A가 본가명이며 B가 분가명, C가 이름이다. 이 이름을 표기할 때는 성과 이름 사이에 .(larl)을 놓지 않는다.

Skarsna(본가명)

haltxeafis(분가명)

elerna(이름)

Skarsna haltxeafis elerna

Hinggenferl(본가명)

valar(분가명)

lirca(이름)

Hinggenferl valar lirca

본래 3형식은 자식에게 맨 앞의 성을 제거하고 맨 뒤에 이름을 넣어 만드는 방식으로, 원래 성을 가지지 않았던 하위 계층의 형식이었다고 여겨진다. 현재는 이러한 풍습은 제도적으로 남아있지 않다.

Ales estvaza ilern

아버지

Estvaza ilern leferen

아들

12.2.2. 보조적 이름요소

리팔라인 이름에는 여러 가지 보조적 이름 요소가 존재한다.

12.2.2.1. 4형식

3형식의 오래된 형식에서 유래되어, 이름을 정식으로 표기하여야 하는 경우 3형식의 가장 뒤 두 이름의 조상의 성씨를 이름의 가장 앞에 붙이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4형식이라 한다.

Ales estvaza ilern leferen

12.2.2.2. 칭호류 (포르메, forme)

한 사람의 전문이나 전통적인 칭호, 고대적부터 칭호를 부여하던 권위적 기관인 ADLP가 개인에게 부여한 칭호 등을 정식 이름에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한 사람은 최대 3개의 칭호만을 가질 수 있다. 칭호의 앞에는 반드시 for 라는 단어가 따른다.

Ales lanerme lipakorl for adlpartalarta, werlfurpuraptalersseer


12.2.3. 파생형식

파생형식은 기본형식에서 파생되는 이름의 형식이다. 파생형식은 세 가지 형식이 있다.

12.2.3.1. 생략명칭

집단 내 등에서 성이 겹치거나 해서 사람을 특정할 수 없게 되는 경우 생략명칭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이름의 단어(4형식은 포함하지 않음)에서 각각 앞에서부터 C(자음)V(모음)C(CVV라면 CV만) 꺼내 나열한다. 이름의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하면 그것부터 첫번째 자음까지 꺼낸다. 이름과 같이 쓰는 경우 fon을 앞에 붙인다.

Fafs falira sashimi fon faffalsas

반드시 이 형식을 따른다고는 할 수 없으며, 독자적인 생략명칭을 가지는 경우도 있다. 다음 경우, 규칙에 따르면 tarlije 가 되겠지만 그렇지 않다.

Tarf lifan jetiestafis fon tali'e

12.2.3.2. 제사용 이름

리팔라오네교의 기도에 사용하기 위한 명칭. 다음과 같은 생성방식을 가진다. 생성된 명칭은 2형식처럼 .을 넣어 표기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1. 이름을 사용.
  2. x→k, r→l, z→모음 앞에는 s, 자음 앞에는 se, j→dz, 모음 Ar 모음 B→ 모음 A 모음 A(B가 i라면 j)로 변환
  3. 위 변환 이외의 무성음을 유성음으로 변환(s는 z로 변환)
  4. i→e, u→o, e→i, o→u,に変換
  5. 변환결과의 앞에 적절한 월신족의 이름을 붙인다。

Fafs falira sashimi → junafla sadzeme

12.2.3.3. 완전명칭

완전명칭은 4형식과 생략명칭과 포르메와 제사용 이름을 합한 완전한 형태의 이름이며 매우 공식적인 장소에서만 사용된다.

Ales ales lanerme lipakorl fon allali for adlparaptalarta, werlfurpuraptalesseer fyra lepakull

4형식

생략명칭

포르메

제사용 이름

Ales ales larneme lipakorl

fon allali

for adlparaptalarta,

werlfurpuraptalesser

fyra lepakull


12.2.4. 개별형식

12.2.4.1. 별명

리팔라인어에서는 친한 경우 생략명칭이나 이름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이들이 긴 경우는 대신해서 닉네임(farxastisl)을 붙이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는 특별히 어미를 붙이거나 하지 않으며 일반명사를 그대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유에슬레오네 연방 제 4대 총리 타프 빌 예스카(tarf virl woltsasaiju)를 부를 경우, 이름의 woltsaskaiju는 길고, 생략명칭의 tarfvirlwol도 너무 길기 때문에, 흔히 별명인 "과자" (lersene)로 불리고 있다.


12.3. 이름에 관한 표현

12.3.1. 이름을 묻는 표현

이름을 묻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한다.

Mal, co'd ferlk es harmie?

"그럼, 네 이름은 뭐지?"

(이세입문#183)

Lirs, harmie co'd ferlk es?

"그래서, 당신 이름은 뭐죠?"

(이세입문#184)

Si'd aloajerlerm es harmie?

"그의 이름은 뭐지?"

(이세입문#7)

Mal, xarzni'arsti, ferlk es harmie?

"그래서 샤츠니아씨, 이름은 어떻게 되죠?"

(이세입문#49)

12.3.2. 이름을 소개하는 표현

이름을 소개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한다.

Mi'd ferlk es bierlnoj.niergaf.

"내 이름은 비엘노이야."

(이세입문#190)

Mi es skarsna haltxeafis elerna.

"나는 스카스나"

(이세입문#11)

Mi veles stieso <fixa.leijuaf>.

"제 이름은 피샤 레이유아프 입니다."

(이세입문#49)

Jazgasakisti, shrlo sties mi <inlini'a>'c.

"나는 인리니아라고 불러줘"

(이세입문#126)

Mi'd tesnoken aloajerlerm es <leficenaviju>.

"내 이름은 "레피세나비유"다."

(이세입문#160)

12.3.3. 이름을 부를 때의 주의사항

문화권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리팔라인명으로 사람을 부르는 경우 친함이나 상황에 따른 구분이 있다. 친한 경우에는 이름을, 공식적인 장소나 친하지 않은 사람 사이에서는 성으로 부르나, 병원이나 학교, 친소관계가 미묘한 경우에서는 생략명칭으로 부르는 경우도 많다. 단, 생략명칭은 이름이나 성이 겹치는 경우 본래 용법으로 사용되는 겅우도 잇다. 또한, 본인이 사회적인 이유로 성으로 불리고 싶지 않은 경우도 있고, 그러한 경우에도 생략명칭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유에슬레오네 혁명 직후 귀족 가문의 성을 가진 사람들의 생략명칭 사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3형식 이름을 성으로 부르는 경우는 본가명만을 사용해도 괜찮다.


12.4. 여러 성씨와 이름

12.4.1. 여러 성씨

12.4.1.1. 리팔라오네 고유의 전통 성씨

Ales

alesまたはestvaza姓をもつ人。旧ラネーメの中心的王族であった, ラネーメ祖語の*atheisl(玉座に座っているもの)という旧王朝民族の自称に由来する。現在はラネーメ人(lanerme)と呼ばれる人種に区分された。ales lanerme一族によるラネーメ民族解放運動が有名。ales levia一族は一代目アロアイェールのales.leviaの流れでありADLP皇族の家系。

Fafs

リパライン語を開発したFAFS.sashimiのいる一族。発祥は旧クワイエの東北の島の原住民とされる。レアディオの商人一族との混血という説が濃厚。クワイエ公国の民族とされる。fafs falira, fafs lavnutlart, falira一族はADLP皇族の家系。

Viokk

Ales王族領のレアディオを統治する副王一族が発祥でないかと言われてる。ネートニアーが多くネルト大虐殺やフィア戦争でほとんどの本家は殺されている。今生きているのは副系である。

Tarf

リパラオネ国やクレオス国を立ってた一族。デーノ系の混血人の旧クレオネ農民の一族が発祥で유에슬레오네連邦の社会主義を支持した。レアディオにも向かっておりファイクレオネの50パーセントを占めている。

Lexerl

レアディオの山岳民族の兵士一族の名字である。レアディオ国内の70パーセントを占める。ラーデミンケートニアーが多く, 血族の四人の血を飲む事でラーデミン(lardemin)を強化する事が出来る事から『血飲みの儀式』(la lixea fon kyrnao larfe)が存在し, 他民族から恐れられた。lexerl falira一族はADLP皇族の家系。

Fixa

クワイエのlexerlの派生名称。リパラオネ教徒が多く, アンポールネムやフィシャの辿った道筋の記述よりクワイエ発祥とされている。

skarsna

ales一族のアレス王国の中流階級に位置した民族, skarsna haltxeafis一族やskarsna ivane一族など学者家系が多い。skarsna xelken一族はxelkenに流入したxelken一族であるが, skarsna xelken系のxelken.skarnaはWP学者である。


12.4.1.2. 외래 성씨

理名字

原語

由来

Kondarfafis

Suicmadin

サラス人の一族, アルテナ語の"砂使い"から。

Skurlavenija

Skyliautie

ヴェフィス人のスクーラヴェニヤ家, "描く者"から。

Qagir

Qagie<kua2

ヴェフィス人のカギエ家, ヴェフィス化したパイグ人クア家の分家が由来である。

Hinggenferl

Hingenfarl

フラッドシャー人のヒンゲンファール家, "高貴な春月"より。

Kjaska

Kijacuka

タカン人のキヤスカ家, "日の昇る"より。

Bartnirmax

bhátnímaṣ

バート人のバートニーマシュ家, "バート人"

Dzilkodisnal

Zirkodisnar

ユーゲ人のジルコディスナル家, "信仰者, 礼拝者"より。

Attaktei, Azzakzir

Attaktei

ユーゲ人系。

Kuntoitaktei, Kunzit'cakzit

Kuntoitaktei

ユーゲ人系。

Hahurisntaarib

Faklerstarf

Faklers

Fakes, fakle, faklers

HahurisnTaarib

ユーゲ人系。

Li'axen

?

リナエスト系, 理祖語*ləjk̟aleと同根の説がある。

Harschiwsna

Zĵazsciyczga

リナエスト系, "髪を結う者"という意味。

Curlpuskasko

ĵuqsckasko

リナエスト系のスフルプスカスコ家より, "苺の木"という意味。

12.4.2. 여러 이름

12.4.2.1. 리팔라오네 고유의 전통이름

리팔라인어의 이름 생성 방법은 여러 가지가 존재하나, 그 중에선 일반명사로부터 파생되지 않은 고유의 전통적인 이름이 몇 가지 존재한다.

12.4.2.1.1. 성명(聖名)

성명(聖名)은 알로아예르라고 불리는 고대의 권력자가 명명한 이름으로부터 유래한 이름이다.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였기에 여러 가지 변형이 존재한다.

성명(聖名)

콰이에

레아디오

데노

리팔라오네

라네메

클레오스

liverna

lirda

liena

liea

li’e

levia

liey

qernu

gern

kerna

qi

ken

qern

qe

tsuel

zul

curl

xurl

xul

xal’o

xala

ierli

e’ri

eli

eri

elen

ilern

erli

lifale

ivane

lifan

lifarn

lefarern

lifarlin

ilerinam

i’ri

ilan

iler

ilernu

elerna

ilirn

xkarx

xkars

xkarse

xkadz

xkardzy

skarsna

kerlan

qerl

klan

kladi’a

kirlna

klenan

kenan

kira

fixa

fhisli’a

fisla

fisunde

fislkurfer

ficca

ficcer

lavatluntatulart

lavnutlart

lalart

lat

lavutlanta

tatulanta

lavyrl

aloajer

laz

lazer

alaz

lasce

lirz

lezo

iumilia

emelie

emirju

jumili’a

jumili’e

jumirle

mili’a

falira

falira

felirca

felixa

felirxa

falsar

falicirja

유에슬레오네 시대에 이르러 이들 지역변형에는 별로 의미가 없어졌고, 작명자가 적당히 변종을 취하거나 하게 되었다. 대신 케케묵은 성명(聖名)을 아이에게 붙이는 일은 별로 없어졌다.


12.4.2.1.2. 리팔라오네교 관련 이름

성명(聖名) 외에도 리파라오네 교전 등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신족 등의 이름을 그대로 이름으로 붙이는 경우가 있다.

lech

リパラオネ教の教祖 tarf(fixa).lech から。

vileti

スキュリオーティエ叙事詩に登場する殉教者の名前。

yfi’a

yurfheija

スキュリオーティエ叙事詩に登場する英雄の名前。

ateni’a

スキュリオーティエ叙事詩の編者。

hartan

anhartija

スキュリオーティエ叙事詩で民を救って死んだ英雄の名前。

vinci’a

スキュリオーティエ叙事詩で英雄の右腕となる少女の名前

dznjelerche

アンポールネムの編者。

firna

leseli’a

xkardz

solte

アンポールネム・レチ章に登場する六人の教え人の一部。

velgana,

lena, fyrna,

yszaplorca,

keintel, xturga,

jungkar, junafla,

xertar, filena,

lbar/eulbar,

belche, berxa,

ijerkhst,

神族の名前。生まれた修正理歴の月に従って付ける場合が多い。


12.4.2.2. 생산적 어미에 의한 이름 생성

리팔라인어에는 일반명사로부터 생산적으로 이름을 만들 수 있는 어미가 몇 가지 존재한다.

-afa

여성용의 이름화 어미

-afis

남성용의 이름화 어미

-rdia

-ija

-iju

-af

중성(남녀공용)용의 이름화 어미

mylon

mylonafa(여성명)

mylonafis(남성명)

myloniju, mylonija, mylonardia, mylonaf(중성명)

12.4.2.3. 외래 이름

리팔라인어는 유에슬레오네 연방뿐 아니라 오랫동안 여러 곳에서 사용돼온 언어이며, 또한 협상어로써 국제적으로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다양한 외래 이름 또한 도입되어 왔다.

12.4.2.3.1. 리팔라오네어족 유래 이름

vefisaita

"武士の"が由来のヴェフィス語名。

larxial

lexerl と同根のフラッドシャー語名。

lina

lena と同根のブルミエント・チャウデ語名。

lirracci’irn

"教養のある"が由来のタウニラウィッリー語名。

kirtiwa

"鳥"が由来のタウニラウィッリー語名。

julircan

"正しい"が由来のタウニラウィッリー語名。


12.4.2.3.2. 라네메어족 유래 이름

xalina

xal-ijaがラネーメ系言語に取り込まれてから, 再輸入された名前。

lurk

パイグ語の lu2 kut1 に由来する名前。

nirlej

パイグ語の ni1 let1 に由来する名前。

12.4.2.3.3. 리나에스트어족 유래 이름

xemcija

リナエスト語の Zsëmsija に由来する名前。

bierlnoj

リナエスト語の Pelgoi に由来する名前。

nivreveis

リナエスト語の Ülévysia に由来する名前。

likali’a

リナエスト語の Livtalia に由来する名前。

urxe

リナエスト語の Ëfšiy に由来する名前。

12.4.2.3.4. 위고크어 유래 이름

gailifija

"勇敢な"が由来のユーゴック語 gairiph に中性名前語尾 -ija が付いた名前。

galta, galt

"炎"が由来のユーゴック語 garta が由来のユーゴック語名。デュイン戦争に関わった英雄が意識されることが多い。

lartheiju

"誇りの"が由来のユーゴック語 raathe に中性名前語尾 -iju が付いた名前。

12.4.2.3.5. 듀인 원주민 유래 이름

altea

"賢い, 賢明な"が由来のリスターメ語名。

junita

"海"が由来のリスターメ語名。

barch

"我"が由来のラッビヤ語名。

cykhch

"良い"が由来のラッビヤ語名。

13. 사회언어학적 면모

13.1. 방언

리팔라인어에는 몇 가지 방언이 존재한다.

13.1.1. 지역방언

13.1.1.1. 듀인 방언

デュイン方言はデュイン戦争後の유에슬레오네の希望開拓者やハタ王国からの大量の資本家, 宗教家が移植民として流入されていく中で構成されていった口語リパライン共通語と言える。

Jan gir'nd tiersna ji lfurf klert at den?

"この少女はいつも狐と話そうとしているらしい" (사전 예문)

13.1.1.2. 팔트크노아 방언

ファルトクノア方言とはファルトクノアで話されるリパライン語の方言である。

Lartass aus barfow'ct ison cierjustel arferdizjerni'l.

"人々が束になって党本部に押し寄せた" (사전 예문)

13.1.1.3. 아이렌 방언

アイレン方言はハタ王国, PMCFで話される理語の方言。 リナエスト語派の古典的な象徴とリパライン語派の文法特徴を持ち合わせる。

Hammie co ärs liaxö?

"どうした?" (사전 예문)

13.1.1.4. 파이그 방언

パイグ方言とはPMCFで話される口語リパライン語である。パイグ人は非リパライン語母語話者が殆どで, 口語ではパイグ方言を利用する傾向にあり, 母語話者にとっては解りにくいものとなっている。

Mi tydiet en hugir potto, lusut salarua io kyluser huon huianxa.

"私はそこに入って, フィアンシャの運営者に挨拶をした" (사전 예문)


13.1.1.5. 유게 방언

ユーゲ方言は世界中で900万人のユーゲ系移民とその子孫などによって話されている。

Mi nibw rkuqph rinepaqine'i.

"私はリパライン語を喋らない" (사전 예문)

13.1.2. 사회방언

13.1.2.1. 유복어

裕福語はADLPやラッテンメ人によって話されている。本土ではADLPによる貴族語法の印象が強いが, ファルトクノアなどではラッテンメ人特有の俚言として捉えられやすい。

M'als mayn jiesnypi'ly sopeje'xi tydiestevirlu.

"私は午前に学校へ行く" (사전 예문)

13.1.2.3. 성직어

聖職語(または教会リパライン語)は三代目リパライン語の社会方言のひとつである。閉鎖的なフィアンシャ社会の中で生きるシャーツニアーの生活のなかでフィアンシャ個々の社会構造の中で独自に発達したものであり, リパラオネ教とシャーツニアーの生活, ADLP政治時代の思想と生活に強く影響を受けているが別の視点では外部のリパライン語から隔絶され, 発達が遅れたリパライン語ともされていた。

Harmue io asti'een achkarjer m'es, l'teles harmie utes?

"電話技師は何処に居て, 何をしているのです?" (사전 예문)

13.1.2.4. 수가어

水家語(または水家リパライン語)はヴェフィス人の宗教指導者によって話されるリパライン語の社会方言である。

Kaitt, mi lkurf lkurftless'd vefisaitér.

"やあ, 私は水家語を話します" (사전 예문)

13.2. 사회언어학사

リパライン語の社会と言語の関係, 言語行政による言語利用の変化などについては"リパライン語と言語行政と文化"を参照すること。


14. 시학

本項ではリパライン語での詩にまつわる手法や考え方についてまとめる。

14.1. 시의 여러 정의

14.1.1. 시 형식의 큰 두 분류

リパライン語の詩は定型音節数詩(Agleli’es durxe)と韻律詩(Agleblen durxe)に分けられる。定型音節数詩はADLP政権の崩壊以後から15世紀までの間に中心的であったラネーメ詩に影響を受けた詩の系列(一般に中世詩と呼ばれる)であり, 韻律詩はADLP時代までの古典詩及び15世紀に始まる韻詩文復興運動によるスキュリオーティエ叙事詩の復権による近代詩の系列である。前者は音数の詩形の定義が中心であり, 後者は韻律と押韻を中心とした詩形である。

14.2. 운율시

韻律詩は韻律と押韻を特徴としている。

14.2.1. 음절

韻律とは特定の音の配列の形式, リズムのことであり, リパライン語詩では伝統的に長音節(loler nesnium)と短音節(narlen nesnium)の二対立をどのように配列するかが基本となっている。スキュリオーティエ叙事詩を元とする古典韻律と1700年代中盤に成立した近代韻律では韻律単位定義の考え方などが少し異なる。

14.2.1.1. 음절의 정의

音節とは一拍に当てられる音の塊であり, 韻律を決めるうちで最も基本的な単位である。単語を音節に分割するには, (C)Vを前からまず分割し, 母音に隣接していない子音は左右の音素のうち聞こえ度が高い方に統合するという手法が取られる。

akranti

元の単語

a/k/ra/n/ti

(C)Vを区切った形

ak/ran/ti

聞こえ度の高い方に統合した形

14.2.1.2. 음절의 분류

リパライン語詩での音節は主に長音節と短音節に分けられる。古典韻律では長音節は長母音のある音節か短音節はそれ以外(つまり, 短母音の開音節)を指す。しかしながら, 近代韻律ではこの辺りが更に複雑化している。


古典韻律の音節分類

近代韻律の音節分類

長音節

長母音のある音節

長音節

DLNP

アクセント長母音の

閉音節

(コーダの重さ)

LNP

長母音の閉音節

(コーダの重さ)

DLNF

アクセント長母音の開音節

LNF

長母音の開音節

閉音節

中音節

DNP

アクセント閉音節

(コーダの重さ)

NP

閉音節

(コーダの重さ)

短音節

短母音の開音節

短音節

短母音の開音節

近代韻律の音節分類では, 長音節が中音節と長音節に分類され, またその下位分類が存在している。また閉音節には音節末の子音の数によって"コーダの重さ"というものが付され, それによっても音節の長さが定義される。

例:Agrieflarr

古典韻律の分類

近代韻律による分類

ag

長音節

中音節 NP𝄌1

rief

中音節 NP𝄌1

larr

長音節 DLNP𝄌1

例:Verliestra

ver

長音節

長音節 DLNF

lies

中音節 NP𝄌1

tra

短音節

例:nefarzarg

ne

短音節

far

長音節

長音節 DLNF

zarg

長音節 LNP𝄌1

14.2.1.3. 각운의 분류

リパライン語詩の韻脚(Fiertium)は分類された音節をどのように配置するかの方法を表し, リパライン語韻律詩の韻律の基本となる。古典韻律では基本的に^が短音節, -が長音節として扱われるが, 近代韻律ではより自由度が高い。

韻脚名

韻脚

Cathlirtlen

楽詩(二音節韻脚)

Jursyken
二声的

Pancathlirtlen

長短

-^

Iucathlirtlen

短長

^-

Stlerven

一声的

Iumiume

短短

^^

Panpanne

長長

--

Verfelirtlen

黙詩(三音節韻脚)

Jursyken
二声的

Panverfelirtlen

長長短

--^

Iupanpanne

短長長

^--

Panniupanne

長短長

-^-

Iupanniu

短長短

^-^

Iuverfelirtlen

短短長

^^-

Panniumiu

長短短

-^^

Stlerven

一声的

Iumiumiume

短短短

^^^

panpanpanne

長長長

---

なお, ここで用いられている Cathlirtlen, Verfelirtlen という語はユーゴック語詩学の用語であり, 固有語による表現を好む話者は長短, 短長, 長長短, 短短長をそれぞれ panniume, iupanne, panpanniume, iupanpanne と呼ぶ場合がある。

14.2.1.3.1. 음절 길이의 대용 (레졸루션)

近代韻律でのみ, 長音節一つと短音節二つは交換可能であり, これを音節長の代用(レゾリューション)と呼ぶ

元の韻脚

レゾリューションの例

--^

^^-^

-^^^

^^-

--

^^^^

レゾリューションは各韻脚の中で一回しか起こらない(レゾリューションを起こしたあとの韻脚の中でレゾリューション出来る部分をレゾリューションすることは出来ない)

可能

--^ → ^^^^^/^^-^/-^^^

不可

--^ → -^^^ → -^-

14.2.1.4. 각수와 구절

どのような韻脚をどのように何個並べるかを脚数(fiertiumsnej)といい, またそれが複数行集まることによって一つの詩節を作って韻律となる。例えば, シャネン韻律(Xanen agcelle)という韻律は三行長長短四脚数黙詩(3’d leiju’d panverfelirtlen 4'd fiertiumsnej)というふうに表すことが出来る。

しかし, 同じ韻脚を並べていない行や詩節内の行によって並べる韻脚が異なる場合もある。例としてユフィア韻律(Yfi’aven agcelle)があり, これは三行短短長長短長長短長長短長詩(3’d leiju’d iumiupannapanne ad Iupanpannekung ad iupannen durxe)という形式になっている。

Xanen agcelle

(3’d leiju’d panverfelirtlen

4'd fiertiumsnej)

Yfi’aven agcelle

(3’d leiju’d iumiupannapanne ad Iupanpannekung ad iupannen durxe)

^--^--^--^--

^--^--^--^--

^--^--^--^--

^^--^--^--^-

^^--^--^--^-

^^--^--^--^-


14.2.2. 압운

押韻(Virlarteust)は韻律詩の要素の一つであり, 韻律と共に重要な役割を成す。リパライン語詩において押韻は同じような音を同じような位置で合わせることをいう。押韻は必須ではない。基本的に古典韻律では音節の主母音のみがあっていれば押韻されていることになる。子音韻は一般的ではなく, 近代韻律になってから見られるようになる。

 主に以下のような押韻法(Virlarteustel)が存在する。

14.2.2.1. 어미운

文末の最終音節で押韻する押韻法を語尾韻と呼ぶ。リパライン語詩の中では圧倒的に使われる一般的な押韻法である。

Lajnef xefor icve fuaj fai ple ad tvasnko.

Mal m'is da icco'd dodor, euvila'i virlio

es vyn' dur lej desvelergeumesoss dal anno.

14.2.2.2. 두운

文頭の最初音節で押韻する押韻法を頭韻と呼ぶ。語尾韻よりは少ないが, 時折出現する押韻法である。

Pacergna, malfarnovon lkurf ny la l' vel da.

"Xarzerstineu ferrgydies cun mi es men ka.

Mal, harmie coss fal fqa mol mal eter ckurja?

14.2.2.3. 순환운

循環韻は行数が偶数の場合(四行詩であることが多い)に使うことが出来る韻律である。古典詩では一般的ではなく, 近代以降に多い。語尾韻と頭韻を合わせたタイプの押韻法である。二行ごとに循環する二個循環韻と四行ごとに循環する四個循環韻が存在する。

二個循環韻

四個循環韻

--^--^--^--^

^--^--^--^--

--^--^--^--^

^--^--^--^--

--^--^--^--^

^--^--^--^--

--^--^--^--^

^--^--^--^--

Fgir'd xerf kotiel roft cecioj miss snynisnoss'tj.

Tidist dyril da cun la l''d l'jukernot ve mol cis.

Ci's es la dyril niv pa seldfent tidist eul' l''i.

Lidyster la jurfheija mol el fqa lerj fgir.


wip

・スキュラーレ押韻法

・頭韻法

-

"-" (-)

-

"-" (-)

--^--^--^--^

--^--^--^--^

--^--^--^--^


15. 수사법

本項ではリパライン語で特筆すべき修辞の手法や考え方についてまとめる。

15.1. 괄호 내의 elx 축약접속사

elx 축약접속사で繋がっているのは文として繋がっているからであり, その流れで読まれることを意図している。でも, そうでない場合は別にそこまで重要ではないということを暗に表していることになる。

"Jeskavera io xol (pelx fe ixvarladaliues stedelafa'd «xol» ad la lex) elx es latirnostana'd lakraptana."

"イェスカ主義における革命(しかし, ステデラフの『革命』と混同してはならない)はイェスカ哲学の概念である"

"Jeskavera io xol (pa fe ixvarladaliues stedelafa'd «xol» ad la lex) es latirnostana'd lakraptana."

"イェスカ主義における革命(余談だが, ステデラフの『革命』とは異なる)はイェスカ哲学の概念である"

15.2. 비교의 3계층

リパライン語の比較に関しては絶対比較から相対比較までグラデーションのある表現があるとされる。絶対比較に近いil, ilsと中間比較と呼ばれる比較対象を置かないle, les, そして対象のある相対比較の三つに分けることができ, このようにレトリックによって使い分ける場合も存在する。

Unde io dolisn larta ad vynut larta mol mag miss zel tysneno la lexe'd dolisn larta melx wioll jol unde is (______) melx tvasnk la lex felx jol cene es ez, jexi'ert.

"世の中には悪い人と良い人が居て, 悪い人を倒し続ければ社会はより良くなっていくなんて簡単な構造を信じられれば確かにまともで居られるのかも知れない。"

(______)の内容

ニュアンスの例

il vynutである場合

この方法による世界の変化に疑問を懐いている。ゆえに世界のあり方の比較が不可能だと考えている。

le vynut(比較対象なし)

である場合

以前の世界と比較しているが, 新しい社会が具体的に想像し難い。だが, 方法には肯定的だと考えている。

le vynut(比較対象あり)

である場合

具体的な比較例が出せる。方法への直接的な価値判断は留保され, 比較によって評価しようとしている。


15.3. 고어적 종속절 주어에 의한 수사법

現代語における従属節主語は -’st であるが古理語から古ユナ語までは長らく -’d が使われてきた。このため -’d は動詞派生名詞を修飾することで古語的な少し硬い表現としての従属節主語を表す場合がある。

Harmie mi miscaon celdin larta zelx jol tvarl mi'd lirfer?

"何で私の好きな人を奪おうとした人と協力しなきゃいけないの?" (이세입문#235)

上記の例では, mi’st lirferと言うよりも深淵な意味で自分がlirfしている対象なのだというニュアンスを含む。

15.4. NAAN의 수식 방식을 명시하는 y

現代語では y 는y類(i, -j, e)に分裂して, その用途ではほとんど用いられないが, 現代に残ったいくつかの用法のうちにNAAN単語の修飾方向を明示するというものがある。NAAN単語の修飾方向は明示されないことが普通だが, 明示が必要な場合はこの方法で明示される。

kivuj xale larta

"猫のような人"?

"人のような猫"?

kivuj xale y larta

"猫のような人"

これは"y 후치사"が전치사となり, "전치사 y"が후치사となるという名残であり, -j では実現できないために残ったと思われる。

ちなみに y には전치사・후치사に対して前後の位置がありえたのに, 何故後世のi類では後置に由来する -j しか残らなかったのかというと, 전치사の方が후치사よりも数が多く, 接辞となっていくうちに類推で -j のみが残ったのだろう。デュイン方言には후치사に付ける j- が存在する。


X. 특수 표기

本項では, 文法書の特定の項目に還元できない"このように書くべからず"や"なんも間違ってないけどこう書いてよ"についてまとめる。本項目は翻訳講評などから抽出された情報を整列せずに掲載する。

X.1. 속격의 유무

他言語に影響されて学習者は属格を除いて書いてしまう場合が多い。規範的には属格標識か形容詞語尾, fon, lut以外の名詞の連続を修飾関係とは見なさないため, 誤用とされることが多い。しかし, 古典リパライン語ではこれが認められるため, Xelkenなど特殊な社会集団における社会方言として解釈することが可能ではある。

Co icve fqa laver?(机戦ソフト)

"この駒を取りますか?" (非規範的)

Co icve fqa’d laver?(机戦ソフト)

"この駒を取りますか?" (規範的)

X.2. "이런 나이"

"そんな歳で幽霊なんか怖がってるの?"という文章で"Co ydicel nulter las fal larva xale __?"の下線部分に何が入るかというアンケートが行われた。この表現に関してはFafs falira sashimiの規範的には fgir であったが, その他にも様々な意見が集められた。アンケートの57%と悠里界隈のSkarsna.haltxeafis, Fafs.lavnutlartは fgir を選んだ。主にこれは" (la lexは)『前の文と同じ内容』なのであって, 突然 la lex が現れるわけ無いので, fgir である"という考え方であった。アンケートの43%とFixa.siertijaは la lex を選んだ。主にこれは" (指示詞が指している内容は)coだと思ったのでla lexにしました"という考え方であった。少数意見としては, jekto vatimeliju nordelijaの fqa やskurlavenija.mavijaの larva co’dy などがあった。いずれの表現もはっきりと間違いであるということは出来ない。

X.3. 언어명에 대해

リパライン語の言語名に関する表現には多種多様な表現が存在し, 統一感がないため個別に表現を覚える必要がある。新たな言語の呼び方が何処に当てはまるかに明確な規準はないが, Fafs falira sashimiの規範的には-’d/lkurftlesse’d系を用いることを推奨している。

-virle, -virel系

phertarsvirle, takangvirle, pergvirle

-el系

alsatzel

-'d lkurftless系

calassa'd lkurftless

lkurftlesse’d -系

lkurftlesse’d lineparine

言語名単語系

vefise, yrgokk, culp, pemecepelukupp

X.4. 시간과 장소의 배치

リパライン語は時間と場所の順番は区別しない場合が多いが, 口語では場所の전치사句は最後に来ることが自然なので時間→場所の順で配置されることが多い。

Edixa mi lersse dieniep pesta knloavil heska fal dystis.

"私は夕食の前に自宅で数学を勉強していた"

X.5. "생각하다"라는 단어에 대해

vsfafghは古典理語husfafgh(思う)由来で発音も言語翻訳庁の綴り字改定後に破格として残ったもので文語, 対してtisodは(おそらく)ナデュー語やフレリオン諸語由来で日常的にはこちらがよく使われる。他にはniexixがあるけどこれは古ユナ語では"贈る"の意で現代語では少し硬めな言葉に聞こえる。古典リパライン語にほhusfafghの他にinualという"考える"にあたる動詞があるが, これに由来する動詞は現代リパライン語には残っていない。代わりにヴェフィス語ではinyalという動詞になって引き継がれていて, これはスキュリオーティエ叙事詩に登場する名将イニュアリアの名の語源になっている。

X.6. 存在動詞とコピュラ

印欧語族の影響かは分からないが, 存在動詞とコピュラが同一だと考えて”es”を存在動詞として用いる場合が良くある。これらは一般的に古典リパライン語から分離していると考えられており, コピュラには”es”を, 存在動詞には”mol”を用いる。

Mi vsfafgh mal mi es.

"考える故に我在り" (非標準的文の例)

X.7. 부사 lex V

本来, リパライン語の副詞は動詞の直前(或いは-jが付くなら直後)に付いて, 動詞を修飾する語である。このため連体修飾句を作るlex VのVを副詞で修飾する場合, どうすれば良いのかという問題が存在している。標準的には”副詞 lex V”や”lex 副詞 V”は誤りであると考えられており, 今の所”副詞 V-en”という形が推奨されている。

Restutulon lex olo ziechija…...

"左に続く語形が……" (非標準的文の例)


X.9. -erl에 대하여

動詞派生名詞語尾”-erl”は本来動作の対象を表すが, 時によっては動作に関わる別のものを表す場合がある。これに関してjekto.vatimelijuは"動詞派生名詞が主格やら対格やらを取り動詞としての機能を残しているときには動詞のしくみに従うので態が明示されるが, 動詞から派生してはいるものの完全に単独で独自の意味を持った名詞である場合には動詞のしくみが薄れて態の明示が不要になる"との説を提唱している。


부록

부록1: 완충음 조견표

완충음 조견표

v

rg

m

a

e

u

o

i

l

eu

y

V

단어의 최종모음 칸을 시작점으로 한다.

《완충 모음이 알고 싶다》

시작점의 위의 모음이 있다면 그것이 완충모음이다.

시작점의 위에 모음이 없다면, 그 모음 자체가 완충모임이 된다.

《완충자음이 알고 싶다》

시작점으로부터 위를 보아 가장 먼저 보이는 자음이 완충자음이 된다.

《예시》

・예1(완충자음이 바로 위에 있는 예)

lineparine라는 단어의 완충자음을 찾아보자.

lineparine의 최종모음은 e 이므로 e 칸으로부터 출발한다.

바로 위에 rg(자음)이 있으므로 이 것이 완충자음이 된다.

・예2(완충자음이 바로 위에 없는 경우)

parlo라는 단어의 완충 자음을 찾아보자.

parlo의 최종모음은 o 이므로 o 칸으로부터 출발한다.

o의 위에는 a가 있으므로 그 위를 본다.

v(자음)에 도달하였으므로 이 것이 완충 자임이 된다.